백제 여인의 기다림[왕은철의 스토리와 치유]〈258〉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8월 31일 03시 00분


사랑하는 사람을 기다리는 감정만큼 보편적인 것도 없다. 백제시대에 만들어진 옛 가요 ‘정읍사’가 천 년의 세월을 훌쩍 뛰어넘어 지금까지 전해지는 것은 그 보편성 때문이다. 밖에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의 이야기는 우리 어머니들의 이야기다.

‘정읍사’는 그런 노래다. 행상을 나간 남편을 기다리는 아내가 있다. 남편의 귀가가 늦어지자 걱정이 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산등성이의 바위에 올라 남편이 오는지 내려다보고 또 내려다본다. 걱정이 태산이다. 남편이 돌아오는 길목은 진창이어서 자칫하면 발이 빠지기 일쑤다. 어두울 때는 특히 그렇다. 그래서 그녀는 떠오르는 달을 향해 애원한다. “노피곰 도다샤/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높이 돋으시어 멀리멀리 비치옵소서).” 남편이 오는 길을 비춰 “즌 데(진 데)”를 밟지 않게 해달라는 간절한 애원이다.

꾸며낸 게 아니라 실제 있었던 일을 기반으로 한 노래다. 예를 들어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그 사연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다. 정읍현에 사는 여인이 장사를 나간 남편이 돌아오는 밤길에 무슨 변을 당하거나 진창에 빠지지 않게 해달라고 기원하는 마음을 노래로 읊었다는 것이다. 그리고 조선시대에 제작된 지도를 보면 그녀가 서 있던 망부석이 정읍 고부의 두승산 자락에 있다고 표시되어 있다. 이쯤 되면 남편을 기다리며 노래를 흥얼거리던 여성이 실제로 살았던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그렇지 않기에는 너무 구체적이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구체성은 사라지고, 두승산 자락에 살았던 여인의 노래는 누군가를 기다리는 우리 어머니들의 노래가 되었다. 남편을 포함해 밖에 나간 가족들을 기다리며 그들의 안위를 걱정하는 어머니들의 마음을 노래하는 신화라고나 할까. 신화는 그렇게 만들어진다. 이병주 작가의 소설 ‘산하’에 나오는 말처럼 “태양에 바래지면 역사가 되고 월광에 물들면 신화가 된다”. 달빛에 물들어 신화가 된 ‘정읍사’는 이제 우리 어머니들의 노래다.

#백제 여인#기다림#정읍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