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임 밸류’가 아니라 ‘양질의 훈련’ 원하는 청년들[광화문에서/유성열]

  • 동아일보
  • 입력 2022년 10월 31일 03시 00분


코멘트
유성열 사회부 차장
유성열 사회부 차장
2020년 8월 5일 시행된 청년기본법에 따르면 ‘청년(靑年)’이란 19세 이상 34세 이하인 사람이다. 새내기 대학생부터 사회 초년생 정도가 법적인 의미에서 청년인 것이다.

하지만 모든 청년이 대학생이나 직장인은 아니다. 학교 졸업 후 취업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이 있고, 음식 배달 또는 택배 기사를 하는 특수고용 노동자가 있으며, 구직을 아예 포기한 니트족도 있다.

그리고 시야에 잘 포착되지 않는 다른 청년도 수십만 명 존재한다. 정부 지원을 받고 기술을 배우며 미래를 준비하는 직업훈련생이다. 국비 지원 훈련생(약 16만 명)에 전문대생(70만 명)까지 합하면 국내 직업훈련생은 86만 명에 이른다.

보통 직업훈련생이라고 하면 4년제 대학에 진학하지 않고 제조업 공정에 필요한 기술을 익히는 청년을 떠올린다. 그러나 최근엔 4년제 대학생들도 직업훈련을 받는 경우가 많다. 정보기술(IT)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코딩, 빅데이터 등을 익혀 빅테크 기업에 들어가려는 청년이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공계보다 취업이 어려운 인문계 대학생 사이에서도 최근 IT 분야를 중심으로 ‘직업훈련 열풍’이 불고 있다. 정부는 이런 청년들을 위해 2020년 11월부터 ‘K-디지털 트레이닝’ 과정을 개설해 지금까지 약 3만 명의 훈련비를 지원했다.

정부는 지난해부터 이 과정에 네이버, SK하이닉스 등 대기업을 참여시켜 직업훈련의 한 축을 맡기고 있다. 청년들이 선망하는 ‘디지털 선도기업’이 청년들을 직접 가르치도록 해 직업훈련의 질을 끌어올리겠다는 취지다. 정부는 이들 기업에 민간 훈련기관의 최대 3배에 해당하는 훈련비를 파격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기업이 훈련 프로그램을 직접 설계하는 데다 훈련의 질도 높은 만큼 지원을 대폭 늘려야 한다는 게 정부의 생각이었다.

하지만 청년들 사이에선 정부의 이런 정책이 ‘양질의 훈련’보다 ‘네임 밸류’에 치우친 것 같다는 비판이 나온다. 유명 대기업들을 참여시킨 것까진 좋은데, 훈련의 질을 높이는 고민은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실제로 디지털 선도기업 훈련을 이수한 청년들의 취업률은 50%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한다. 민간 훈련기관들의 IT 분야 취업률이 80% 안팎인 것을 감안하면 미진한 성과다. 정부는 “올해 과정이 모두 끝나야 정확한 취업률이 산출될 것”이라는 입장이지만, 청년들 사이에선 “대기업이 가르쳐 준다고 해서 기대를 많이 했지만 시중 학원 강의와 별반 차이가 없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26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주재한 청년정책조정위원회 전체회의에선 직업훈련 정책의 청사진이 발표됐다. 정부는 “현장 수요에 부합하는 훈련 과정 개발 및 확대 등을 통해 맞춤형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겠다”며 “첨단산업 선도기업, 민간단체 등이 주도하는 다양한 훈련 과정도 운영하겠다”고 밝혔다. 정부가 이 약속을 지키려면 직업훈련생들의 목소리부터 들어봐야 하지 않을까. 청년들은 대기업이란 ‘네임 밸류’보단 ‘양질의 훈련’을 더 원하고 있다.

#청년#네임 밸류#양질의 훈련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