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아더 ‘수족’ 넘어 ‘절친’된 요시다… 戰後 일본 회생시켜[박훈 한국인이 본 20세기 일본사]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2월 3일 03시 00분


시가 애호가였던 요시다 시게루(왼쪽)의 모습.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시가 애호가였던 요시다 시게루(왼쪽)의 모습.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박훈 서울대 동양사학과 교수
《1951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일본은 미국과 안전보장조약을 맺었다. 현재 맹위를 떨치고 있는 미일동맹, 바로 그 조약이다. 불과 6년 전까지 사생결단으로 태평양 전역에서 싸웠던 두 나라, 승전국이 패전국을 점령하여 지배하에 둔 관계였던 두 나라가 갑자기 군사동맹이 된 것이다. 소련이 팽창하고 중국이 공산화되고, 무엇보다 미국이 일본을 점령한 동안에 발발한 한국전쟁으로 일본의 전략적 가치가 급격히 상승했기 때문이었다. 》

경제 개발 올인… ‘요시다 독트린’

얼마 전 일본 정부는 방위예산을 국내총생산(GDP)의 2%로 늘리고, 상대방의 공격을 단념시키는 ‘반격 능력 확보’를 선언해 일본 우파의 오랜 숙원이었던 자위대 ‘국군화’에 코앞까지 다가섰다. 이렇게 하는 구실 중 하나가 북한의 안보 위협이니, 그때나 지금이나 북한은 일본 우파에는 천우신조(天佑神助) 같은 존재다.

미군정의 일본 측 파트너는 요시다 시게루(吉田茂)였다. 미군 점령하에서 일본 내각의 총리를 5번이나 역임했는데, 이는 지금까지도 깨지지 않은 기록이다. 이 기간 동안 그는 ‘요시다 독트린’으로 불리는 국가 노선을 확립하여 전후 일본을 회생시켰다. 외교는 철저히 친서방 노선을 취하고, 국방은 미국에 맡겨 군사력을 갖지 않으며, 일본은 오로지 경제발전에만 매진하는 방침이었다. 국제정세의 변화로 오히려 미국이 일본 재무장을 주장했으나, 요시다는 이에 저항하여 ‘비무장-경제개발’ 노선을 관철했다.

요시다는 메이지 정부에 격렬하게 저항했던 자유민권운동의 메카, 도사(土佐) 출신의 가문에서 태어났다. 중국 펑톈 총영사, 이탈리아와 영국 대사 등을 역임해 국제 정세에 아주 밝았고, 군부의 삼국동맹론(독일, 이탈리아와 동맹을 맺어 미국, 영국에 대항하자는 노선)에 비판적이었다. 군부의 존재감이 커져갈수록 그의 입지가 좁아진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도조 히데키(東條英機)의 군부정권하에서 그는 ‘재야 인사’였다. 패전 직전 고노에 후미마로(近衛文麿)의 상주문 사건에 가담한 혐의로 헌병에 체포됐지만, 40여 일 후 석방되었다. 아무리 군사독재 정권이라 하더라도 전직 대사에 마키노 노부아키(牧野伸顯·메이지유신을 일으킨 오쿠보 도시미치의 아들로 내대신 지냄)의 사위인 그를 더 이상 탄압하기는 어려웠던 모양이다. 헌병에 체포된 사실은 일종의 ‘별을 단’ 셈이 되어, 미군정하에서 정치적 훈장이 되었다.

5회 역임, 역대 최다 집권 총리


1946년 5월 요시다는 내각총리대신, 즉 총리가 되었다. 아직 새로운 헌법이 만들어지기 전이었기에, 대일본제국 헌법에 따라 천황이 조각의 ‘대명(大命)’을 그에게 내렸다. 말하자면 그는 구 헌법에 따른 최후의 총리였다. 외교관 경력만 있고 국회의원을 한 적도 없는 그에게 총리 자리는 ‘굴러들어 온 복’이었다. 원래 총리는 그의 오랜 친구이자 당시 일본자유당 총재였던 하토야마 이치로(鳩山一郎)가 예약해 놓은 자리였다. 1946년 패전 후 최초의 총선거에서 자유당이 제1당이 되었다. 4월 30일, 전례에 따라 당시 총리 시데하라 기주로(幣原喜重郎)는 천황을 만나 하토야마를 후계 총리로 주청했다. 그런데 며칠 뒤인 5월 4일 점령군 총사령부는 군국주의에 협력했다며 그를 공직에서 쫓아내 버렸다.

요시다 시게루에게 총리 자리를 내줬던 하토야마 이치로 당시 일본자유당 총재의 손자,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가 2015년 서울 서대문형무소를 찾아 일제 만행에 대해 무릎 꿇고 사과하는 모습. 동아일보DB
요시다 시게루에게 총리 자리를 내줬던 하토야마 이치로 당시 일본자유당 총재의 손자, 하토야마 유키오 전 총리가 2015년 서울 서대문형무소를 찾아 일제 만행에 대해 무릎 꿇고 사과하는 모습. 동아일보DB
우왕좌왕하던 자유당 지도자들은 결국 정치적으로 무색무취하며 권력 욕심이 없어 보이는 요시다에게 총리직 수락을 압박했다. 한동안 버티던(버티는 척하던?) 그는 결국 세 가지 조건을 하토야마에게 내걸고 마지 못한 듯 받아들였다. 첫째, 정치자금 조성은 못 한다. 둘째, 각료 인선은 간섭하지 말라. 셋째가 가관인데, 그만두고 싶어지면 언제라도 그만두겠다였다. 그만두기는커녕 하토야마가 그만두라고 압박해도 그는 그 후로 8년 동안 5차례나 총리직을 탐냈고, 정계 은퇴할 때까지 미련을 버리지 못했다. 기시감이 있지 않은가. ‘이민우 파동’말이다. 1980년대 정치규제로 공식적인 정치활동을 벌일 수 없었던 김영삼은 오랜 정치적 동지 이민우에게 신한민주당의 총재직을 맡겼다. 자기 대신 당분간 해달라는 것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중후한 성품으로 김영삼에게 충성스러웠던 그도 결국 내각제 개헌 수용을 시사하는 듯한 이른바 ‘이민우 구상’으로 김영삼과 갈라섰다. 권력의 맛은 정말 강렬한 모양이다. 참고로 요시다에게 뒤통수 맞은 하토야마는 절치부심 끝에 1954년 벌써 되었어야 할 총리에 취임하여 2년간 재임했다. 최근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무릎 꿇고 “사과는 피해자가 용서할 때까지 끊임없이 하는 것”이라는 발언으로 한국 언론의 주목을 받은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전 총리가 그의 손자다.

도와주며 실리 챙긴 ‘맥아더 절친’


미 점령군 사령관인 맥아더 장군(왼쪽)과 다정하게 팔짱을 낀 전 일본 총리 요시다 시게루. 요시다는 일각에서 ‘미국의 푸들’이라 
불린 아베 신조 전 총리보다도 더 미국에 협조적이었으며 ‘훌륭한 패자’가 될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미 점령군 사령관인 맥아더 장군(왼쪽)과 다정하게 팔짱을 낀 전 일본 총리 요시다 시게루. 요시다는 일각에서 ‘미국의 푸들’이라 불린 아베 신조 전 총리보다도 더 미국에 협조적이었으며 ‘훌륭한 패자’가 될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사진 출처 위키피디아
요시다 시게루는 점령군 사령관 맥아더에게 철두철미 협조적이었다. 맥아더가 국내의 군국주의 세력을 뿌리 뽑고 좌파 세력을 견제할 때 기꺼이 그의 수족이 되어 주었다. 얼마 전 작고한 아베 신조 총리가 미국에 순종적이라고 하여 ‘미국의 푸들’이라는 비판을 들었지만, 요시다야말로 최초의 푸들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그는 “전쟁엔 졌지만 외교엔 이긴다”며 ‘훌륭한 패자’가 될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 맥아더와는 ‘절친’이 되었다. 한번은 요시다가 아사자 발생을 우려하며 맥아더에게 450만 t의 식량 지원을 요청했다. 결국 70만 t만 들어왔지만, 아사자는 없었다. 이에 맥아더가 70만 t으로도 거뜬하지 않았냐, 일본 정부 통계는 엉성하다고 놀리자, 요시다는 “당연하죠. 만일 일본의 통계가 정확했다면 그런 뚱딴지같은 전쟁은 하지 않았겠죠. 통계대로였다면 일본이 이겼어요”라고 되받아 맥아더의 폭소를 자아냈다고 한다.

요시다와 흔히 비교되는 인물이 이승만이다. 둘 다 아시아의 공산화를 우려한 반공 정치가였고, 미국을 최우선으로 하는 외교 노선을 취했다. 그러나 이승만이 점령군 사령관 하지는 물론이고 미국 정부까지 심심치 않게 들이받은 데 비하면, 요시다는 시종 온화한 태도로 미국을 대했다. 아무래도 이승만에게 ‘푸들’의 이미지는 없다. 2년의 시차를 두고 미일동맹, 한미동맹이 체결되었는데, 미일동맹이 요시다와 맥아더, 나아가 미국 정부 간에 형성된 신뢰감으로 성사되었다면, 한미동맹은 이승만의 북진통일 협박 등 훨씬 험한 과정을 통해 이뤄졌다. 한국전쟁이라는 아수라장에서 살아남으려고 발버둥 쳤던 이승만에 비하면, 요시다는 그가 좋아하는 시가(cigar)를 즐길 여유가 훨씬 많았다.

#요시다 시게루#역대 최다 집권 총리#맥아더 절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