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 20여 년을 흘려 보냈다” [오늘과 내일/박용]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4월 18일 21시 45분


일, 무제한 금융완화 10년 교훈
미래 세대 희생 ‘돈풀기’ 막아야

박용 부국장
박용 부국장
9일 우에다 가즈오(植田和男) 일본은행 총재가 취임하면서 무제한 돈 풀기로 일본 경제를 장기 침체에서 구해내겠다는 ‘아베노믹스’의 주역들이 사실상 모두 퇴장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일본 총리의 경제 비전인 아베노믹스 10년의 공과에 대한 평가도 본격화하고 있다.

끝물 분위기인 ‘아베노믹스’는 10년 전엔 초유의 금융 실험이자 정치적 모험이었다. 2012년 12월 일본 중의원 총선에서 자민당은 ‘물가 목표 달성을 위해 대담한 금융완화를 하겠다’는 공약을 내걸고 승리했다. 경기 침체에 지친 민심을 등에 업은 아베 총리는 “윤전기를 쌩쌩 돌려 돈을 찍어내겠다”고 큰소리를 치며 일본은행을 압박해 2013년 1월 ‘디플레이션 탈출과 지속적 경제 성장 실현을 위한 정책협력’이라는 공동성명을 이끌어냈다.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의 정치적 타협이었고, 아베노믹스의 서막이었다.

공동성명의 당사자였던 시라카와 마사아키(白川方明) 전 일본은행 총재는 올해 1월 일본 경제전문지 ‘동양경제’ 기고문에서 “10년 전 일본 사회는 ‘2% 물가목표’나 ‘과감한 금융완화 요구’가 휩쓸었다”며 “1980년대 후반 거품경제나 1990년대 초반 금융위기 전야 때처럼 다른 의견을 허용하지 않는 시대 분위기가 지배했다”고 전했다. 돈을 풀어 물가를 끌어올리고 경기를 살린다는 아베노믹스 처방에 매료된 정치와 여론은 세계화나 정보기술(IT) 발달, 임금 하락, 인구구조 변화 등 금융 외적인 문제를 지적하는 목소리나 저출산 고령화 같은 근본 대책을 요구하는 주장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

집단 사고와 정치적 타협은 후유증을 남긴다. 10년간 돈 풀기에도 일본 경제가 2% 이상 성장한 건 2번뿐이다. 물가도 최근 세계적 인플레와 다른 나라 금리 상승으로 엔화 가치가 하락하기 전까지는 기대만큼 반응하지 않았다. 하지만 미래 세대에 전가될 청구서는 두툼해졌다. 일반 정부부채 비율은 2012년 말 226%에서 2021년 말 262%로 뛰었다. 경제의 기초체력은 여전히 부실하다. 일본의 잠재 성장률은 0.7%에 그쳤다. 시라카와 전 총재는 “일본 경제의 당면 과제는 잠재성장률 저하를 막고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것”이라며 “일본은 이를 배우기 위해 20년 이상 꽤 오랜 시간을 썼다. 민주주의의 비용이라고 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너무 큰 비용”이라고 아쉬워했다.

경기 침체 위험에 직면한 한국 경제 앞에도 내년 4월 총선이라는 정치적 변수가 도사리고 있다. 여야가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의 문턱을 낮추는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기준 완화에 합심하면서도 ‘돈 풀기’를 막는 보루인 재정준칙 법제화를 30개월째 미루고 있다는 건 ‘선거의 계절’이 다가오고 있다는 신호다.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 미래 세대가 쓸 돈을 가불해 표를 얻으려는 정치권의 ‘표퓰리즘’ 요구도 더 거세질 것이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여론의 기적이 필요하다”며 재정준칙 법제화를 뭉개고 있는 여야의 ‘포퓰리즘 협치’를 막아달라고 하소연했지만, 그 역시 내년 총선 출마가 점쳐진다.

시라카와 전 총재는 “잠재성장률을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근본 대책은 고통을 수반해 인기가 없는 데다 효과를 실감하기에 오랜 시간이 걸려 많은 사람들로부터 환영받는 금융완화가 선택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미래를 생각하면 사회가 장기적으로 금융완화에 의존하는 것을 방지하는 메커니즘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일본만의 고민은 아니다. 미래 세대에 부담을 떠넘기는 선거철 ‘민주주의 비용’을 최소화하려면 정말로 ‘여론의 기적’이 필요하다.

#일본#무제한 금융완화#10년 교훈
  • 좋아요
    29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 2023-04-19 09:43:20

    우리나라도 재앙이 잔당들이 또아리를틀고 현정부의 시책을 정면으로 반기들고있으니 우리도 잃어버린 이십년될까 무섭다. 남의 나라 걱정할일이 아니다.

  • 2023-04-19 09:50:02

    선거에 올인하지말라. 대선 총선 지방선거 기타 모든 단체의 선거들에 임하는 구서원들 모두의 생가콰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그 상각과 마음이 이권에만 집중하면 더러워지고 그 피해로 자유 민주주의는 퇴보되고 장기 집권 독재를 동경하는 특권만을 동경하는 극히일부 미개한 밧민주자의 꾀임에 빠지기쉽고 지금의 북한과같은 수많은 대다수의 사남들을 고통에 빠지게할것이다. 선거는 자유민주 실현의 수단방법들주믜 하나다.정치는 바르게 다스리는 바를정자 정치임을 명심해라.

  • 2023-04-19 11:31:28

    참 힘든 딜레마다 .지금 경기가 최악이라 이대로 가다가는 총선에서 질 가능성도 있다. 그래서 야당이 이기면 포퓰리즘으로 더 큰 문제가 야기된다. 걔들은 오로지 인기위주로 사는 애들이다. 나라가 망하건 말건 요즘 문재인 말하지 안턴가 5년동안 나라를 다 망쳐놨는데 수포로 돌아갔다고 ㅋㅋ지금 좀 풀고 총선 끝난뒤엔 좀 닫고 대선전에 쫌 풀고 다시 닫고 하하..안타까운 일이다.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29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