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11년 6월 배우 리처드 기어가 자신의 사진전 ‘순례의 길’ 홍보차 가족과 함께 한국을 찾았다. 그는 서울 은평구 진관사(津寬寺)를 찾을 계획이었지만 갑자기 방문을 취소했다. 가는 곳마다 장사진을 이룬 팬들과 취재진의 관심이 부담스러웠기 때문이다. 그 대신 그는 다음 날 취재진과 팬들 몰래, 경찰 경호도 없이 가족과 진관사를 찾아 3시간 정도 둘러보고 떠났다. 그는 당시 통역을 맡은 혜민 스님에게 “다음에는 몰래 와 쉬면서 한국 불교를 제대로 느끼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2. 2015년 7월 미국 부통령 부인으로 아시아를 순방 중이던 질 바이든 여사가 한국에 도착하자마자 첫 일정으로 진관사를 방문했다. 바이든 여사는 진관사 주지 계호 스님, 총무국장 법해 스님(현 주지 스님)과 함께 경내 사찰음식 체험관인 향적당과 세심교 다리, 장독대 등을 둘러봤다. 바이든 여사가 진관사를 찾은 건 당시 백악관 부주방장 샘 카스가 강력히 권했기 때문. 카스 부주방장은 2014년 진관사에서 템플스테이를 체험하며 콩국수 만드는 법을 배워 갔다. 바이든 여사는 예정했던 1시간을 훌쩍 넘겨 3시간 넘게 머물렀다. 이 사실은 5년 후 바이든 대통령이 당선된 후 알려졌다. 바이든 여사는 헤어짐을 아쉬워하며 진관사 스님들을 일일이 포옹한 뒤 떠났다고 한다. 》
서울 광화문에서 자하문터널, 구기터널을 거쳐 은평뉴타운을 지나면 멋스러운 한옥이 즐비한 은평 한옥마을이 보인다. 차로는 도심에서 30∼40분 거리.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부인 기시다 유코 여사가 7일 방문해 화제가 된 진관사는 바로 그 뒤에 고즈넉하게 숨어 있다. 11일 기자가 찾은 진관사는 평범한 여느 사찰과 달라 보이지 않았다. 북한산 등산로에 자리 잡은 탓에 많은 등산객들로 오히려 더 평범해 보일 정도. 하지만 속세와 부처님의 세계를 가르는 해탈문을 지나 조금만 더 걷다 보면 “아하∼” 하는 감탄과 함께 벨기에 마틸드 필리프 왕비, 건축가 페터 춤토어 등 수많은 해외 귀빈이 왜 그토록 이곳을 찾고 싶어 했는지 알 수 있다.
● 삼각산 자락 속 한 폭의 동양화
진관사는 예부터 동쪽 불암사, 남쪽 삼막사, 북쪽 승가사와 함께 서울 근교의 4대 명찰로 손꼽혔다. 고려 제8대 왕 현종이 1011년 왕사인 진관대사(津寬大師)를 위해 창건해, 절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다. 진관대사는 당시 전국에서 올라온 후보지 3곳(오대산 상원사 터, 해남 대흥사 터) 중 이곳을 택했다고 한다. 그만큼 진관사의 풍경은 수려함을 넘어 감탄을 자아낸다. ‘뭐지? 골짜기 안에 있지만 답답하지 않고, 오히려 눈 맛이 시원한 이 느낌은….’ 귀빈들이 가장 먼저 탄성을 자아내는 것도 바로 이 풍광이라고 한다. 삼각산(북한산) 바위의 매력과 기세가 주변 소나무, 계곡과 어우러져 가장 한국적인 모습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자연미만 있는 것이 아니다. 비구니 사찰이란 특성 때문인지 경내를 둘러보다 보면 ‘깨끗하다, 정갈하다’는 느낌이 온몸에 밴다. 홍제루를 지나 본당으로 향하다 보면 작약꽃 흐드러진 마당 너머 보이는 대웅전과 나한전, 적묵당과 잘 정돈된 정원은 한 폭의 그림을 연상시킨다. 진관사의 별칭이 ‘마음의 정원’이다. 이 때문인지 진관사 템플스테이는 ‘하늘의 별 따기’로 불릴 정도로 예약이 어렵다.
● 매일 나물 캐는 스님들
“그날 만들 음식은 당일 캔 재료로만 만들지요. 여기 있는 음식도 모두 오늘 새벽에 스님들이 직접 산에서 땄어요.”
지난달 중순 진관사에서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진우 스님의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간담회 후 가진 식사 자리에서 법해 스님은 “채소와 나물이 이렇게 맛있는 줄 미처 몰랐다”는 기자의 말에 이렇게 답했다. 전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진관사 사찰 음식의 기본 정신은 ‘그날 채취한 식재료로 음식을 만든다’이다. 이 때문에 정해진 메뉴가 없다. 계절별로, 그날그날 인근 산과 재배하는 밭에서 딴 재료에 따라 음식이 달라진다. 수많은 음식이 있지만 진관사를 아는 사람들이 백미로 꼽는 것은 550년 전통의 두부찜 ‘포증(泡蒸)’이다. 신숙주의 시문집 ‘보한재집(保閑齋集)’에도 등장하는 진관사 두부찜은 갓 만든 두부에 곱게 채 썬 석이버섯, 잣, 검은깨를 얹고 그 위에 미나리로 글자를 입혔다. 진관사에는 섣달그믐에 두부와 두부소를 넣은 만두를 빚어 묵은 제사와 조왕불공을 드리고 이를 신도들과 나누는 풍습이 있다. 이 때문에 두부 음식이 발달했다. 두부채소탕, 두부호박찜, 두부깻잎전병, 구운두부찜, 구운두부장아찌 등 종류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백악관 부주방장 카스는 진관사를 어떻게 알았기에 템플스테이를 체험하고, 바이든 여사에게 추천까지 했을까. 사찰음식과 템플스테이를 주관하는 조계종 불교문화사업단에 따르면 1990∼2000년대 미국과 유럽에서 냉장 음식과 식재료 오염, 육식에 대한 반성이 일 때 채식 요리 중 하나로 한국 사찰음식이 조금씩 소개됐다고 한다. 그러면서 유명 셰프들이 한두 명씩 개인적으로 한국을 찾았고, 이들이 사찰음식을 미국과 유럽의 리더들에게 소개하면서 입소문이 났다고 한다.
● 불교 상차림의 끝판왕 ‘수륙재’
진관사에서 사찰음식이 발달하게 된 것은 조선 태조가 진관사를 ‘국행수륙재(國行水陸齋·국가무형문화재)’를 지내는 사찰로 지정하면서부터다. 수륙재는 물과 육지를 떠도는 영혼을 위로하는 위령의식으로, 최근 진관사를 방문한 유코 여사도 수륙재 중 법고무를 관람했다. 일제강점기와 6·25전쟁 등을 거치며 잠시 맥이 끊겼으나 1970년대 진관사 스님들의 노력으로 복원됐다. 재에 필수인 음식도 스님들이 각종 사료를 뒤져가며 복원에 나섰고, 이것이 사찰음식에 대한 연구로 이어졌다. 이 때문에 진관사에는 산사음식연구소가 있고 경내에 방앗간도 있어 가래떡, 절편, 백설기 등 각종 떡도 직접 만든다.
본디 사찰음식은 수행에 방해가 된다는 이유로 오신채(마늘 파 달래 부추 흥거)를 사용하지 않고 화려하고 자극적인 것과는 거리가 멀다. 하지만 수륙재 음식은 다르다. 수륙재는 왕이 외로운 영혼을 도량에 모셔 장엄한 의식과 음식을 베푸는 최고의 불교 의식이기 때문에 수륙재 음식은 속된 말로 불교 의식 상차림의 ‘끝판왕’이라고 불린다. 49일 동안 7번 재를 지내는 수륙재의 하이라이트는 마지막 이틀 열리는 칠재. 상중하 3단으로 차린 제사 음식은 조선왕조실록 세종 2년 기사에 나오는 단차림 규정에 따르고 있다. 아직 여물지 않은 ‘올기쌀’로 지은 찐밥 서른 동이, 유과와 두부탕 각각 아홉 그릇, 국수와 떡 각각 아홉 그릇을 올린다. 상중하단과는 별도로 용왕을 위한 용왕단에는 미역, 사자(使者)가 타고 온 말이 쉬는 마구단에는 콩죽을 올린다. 그리고 재가 끝난 뒤에는 스님들과 신도들이 함께 음식을 나눠 먹는다. 국행수륙재를 비롯한 의례음식에서 발우공양과 대중공양이 발전해 온 셈이다.
신도, 비신도를 가리지 않고 진관사 안팎에서 만난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진관사가 사랑받는 이유는 맛과 풍광과 함께 ‘나누는 마음’ 때문”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금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중단됐지만 그 전까지는 월·화요일만 빼고 절을 찾는 누구에게나 점심 식사를 무료로 제공했다. 등산로 옆에 자리한 탓에 점심 식사를 한 사람이 하루 평균 500∼600여 명이나 됐다니 아무리 부처님의 가르침이 있다고 해도 쉬운 일은 아니다. 김유신 조계종 한국불교문화사업단 사찰음식팀장은 “공양은 보시하는 마음을 의미하고, 나눔과 베풂의 지극한 경지를 지향하는 것”이라며 “진관사 공양문화는 인류가 지향하는 참된 음식문화의 가치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