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5년 12월 어느 날. 당시 미국 대통령인 시어도어 루스벨트(1858∼1919)는 찰스 랭 프리어(1854∼1919)로부터 편지를 받습니다. 미국의 수도라는 위상에 걸맞은 미술관을 워싱턴에 짓는 것을 돕고 싶으며, 이를 위해 미술품과 건물을 기증하겠다는 내용이었습니다.
5개월의 협상 끝에 프리어의 뜻은 받아들여졌습니다. 그가 이 무렵까지 수집한 미국과 아시아 미술품 2250점을 포함해 사망하기까지 모은 미술품들을 기증하기로 했습니다. 그리고 프리어가 세상을 떠난 뒤인 1923년, 그가 남긴 9500여 점의 미술품을 토대로 아시아 미술 전문 기관인 ‘프리어 갤러리’가 워싱턴에 세워졌습니다.
학교 대신 시멘트 공장 갔던 소년
프리어는 어떤 인물이기에 이렇게 많은 아시아 미술품을 수집하고 그것을 정부에 기증한 것일까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그는 미국이 한창 개발되던 19세기 말, 기차 제조 사업을 통해 막대한 부를 축적한 재력가였습니다. 그러나 타고난 부자가 아닌 자수성가한 인물이었습니다.
1854년 미국 뉴욕 킹스턴 지역에서 6남매 중 셋째로 태어난 그는 가난한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14세에 어머니가 세상을 떠나고, 중학교를 다 마치지 않았을 때 시멘트 공장에 취직해 돈을 벌었죠. 그러다 철도 사업을 하던 상사의 눈에 띄어 관련 업계에 종사하게 되었습니다.
그가 예술품 수집을 시작한 것은 1890년 무렵. 이때 미국의 경제 사정 악화로 스트레스를 받았던 프리어는 신경 쇠약을 앓게 됩니다. 1899년 은퇴한 그는 여행을 하고 다양한 사람을 만나면서 예술에 눈을 떴습니다.
제임스 휘슬러와의 만남
이달 초 방문한 워싱턴 스미스소니언 국립아시아미술관(NMAA)은 100주년을 맞아 프리어가 일생 동안 교류했던 사람들에 관한 전시가 열리고 있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중요했던 것은 미국 출신 화가 제임스 휘슬러와의 만남이었습니다.
미술관의 미국 미술 담당 큐레이터 다이애나 그린월드는 “프리어의 소장품 중 1000여 점이 휘슬러의 작품이며, 이는 전 세계에서 가장 방대한 휘슬러 컬렉션”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휘슬러의 작품에 반한 프리어는 그가 있는 영국 런던을 직접 찾아가 친구가 되었습니다. 그리고 아시아 미술에 큰 관심을 가졌던 휘슬러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프리어의 휘슬러 사랑을 가장 단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바로 미술관에 영구 설치된 ‘피콕 룸’입니다. 피콕 룸은 1876년 런던에서 만들어졌습니다. 당시 영국의 운수 사업가 프레더릭 릴랜드의 의뢰로 만들어졌지만 릴랜드는 최종 디자인을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고, 당초 약속했던 값의 절반만 휘슬러에게 지불했습니다. 이후 1904년 경매에 나온 이 방을 프리어가 구매했고, 27개 상자에 해체해 담아 미국으로 옮겨와 이때 엄청난 화제가 되었습니다.
영국에서는 이 방에 청화백자를 놓았지만 프리어는 이것이 너무 뻔하다고 여겼다고 합니다. 그 대신 프리어는 휘슬러의 작품 속 안개가 낀 풍경처럼 어딘가 낡은 듯한 분위기를 좋아했고, 자신의 취향에 맞게 아시아 각 지역의 도자기들을 다시 배치했습니다. 여기에는 고려청자도 포함되었습니다. 1908년 사진을 복원해 당시 현장을 지금 워싱턴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예술로 유산을 남기다
이 피콕 룸을 비롯한 수많은 유산을 프리어는 미국 정부에 남겼습니다. 그런데 이 기증이 그냥 이뤄진 것이 아니라 아주 자세한 조건을 달았다는 점이 또 다른 흥미로운 점입니다. 프리어는 기증 서약을 할 무렵 2000여 점의 미술품을 보유하고 있었는데, 사망한 후에는 이 기증품이 9000여 점으로 불어났습니다.
자식이나 아내가 없었던 그는 자신이 가졌던 재산의 대부분을 미술관 운영비에 쓰도록 합니다. 건물은 물론이고 미리 작품과 어울릴 법한 모양을 구상하고 알맞은 건축가를 만나 의뢰해 두었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자신의 유산이 아시아 미술을 연구하는 데 쓰이도록 했으며, 새롭게 세워질 미술관에 전문 큐레이터를 채용하는 것도 조건으로 삼았습니다.
프리어가 기증한 건물 내에 소장품 외 다른 것을 전시하거나 외부로 대여하지 않는다는 조건도 지금까지 지켜지고 있습니다. 또 프리어 갤러리는 그가 기증한 것 외에 다른 기부를 받지 않고 있으며,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작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소장품을 늘리는 것만 가능합니다. 프리어가 자신의 컬렉션을 얼마나 소중히 여겼는지를 알 수 있는 대목이죠.
특히 그는 자신이 사랑했던 휘슬러의 작품을 중심으로 예술의 맥락을 선보이는 것을 중요하게 여긴 것 같다고 그린월드 큐레이터는 이야기했습니다. 삶에서 이룰 수 있는 여러 형태의 성취 가운데, 프리어는 예술로 자신의 유산을 남기길 원했고 그것을 얼마나 철저히 추구했는지를 가늠해볼 수 있었습니다.
결국 미국 시민들은 프리어의 기증을 통해 아시아의 수많은 명품 미술품을 감상하는 것은 물론이고 관련 자료 연구까지 의지만 있다면 누구나 할 수 있도록 혜택을 보게 되었습니다. 예술에 대한 사랑이 여러 사람의 기쁨으로 번져 나가는 것을 직접 목격할 수 있는 기회였습니다.
―워싱턴에서
※뉴스레터 ‘영감 한 스푼’은 매주 금요일 오전 7시 발송됩니다. QR코드를 통해 구독 신청하시면 이메일로 먼저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