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국 정책, 좌표 맞아도 속도 조절은 필요[광화문에서/신진우]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5월 17일 21시 30분


신진우 정치부 차장
신진우 정치부 차장
동아일보와 국가보훈처는 두 달 전 한국갤럽에 의뢰해 한미 양국 국민 대상 여론조사를 진행했다. 결과 중 되새겨볼 항목이 있다. 중국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다. 미국인의 64.6%, 한국인의 87.8%가 중국을 ‘비호감’으로 봤다.

중국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비호감이야 최근 다른 조사들에서도 비슷한 결과로 확인됐다지만 개인적으로 놀라운 건 ‘23.2’란 숫자였다. 중국을 비호감으로 느끼는 한국인이 미국인보다 23.2%포인트나 많다는 것. 신냉전 속 미중 갈등은 최고조로 치닫고 있다.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지난달 “임계치를 넘어서면 핵 확전으로 가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우려했다. 정작 그 갈등의 한복판에 있는 미 대륙에서보다 우리가 중국을 훨씬 부정적으로 보고 있다는 얘기다. 이 조사에서 한국인은 북한(84.1%)보다도 중국을 비호감 우선순위에 뒀다.

세대 불문하고 한국인이 중국을 비호감으로 보는 이유는 다양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나 사드 갈등 당시 보여준 중국 정부의 일방적·고압적인 태도, 중국발 황사·미세먼지가 대표적이다. 중국 누리꾼의 혐한 표현, 중국 지도부의 독재·인권 탄압 등도 비호감 요소로 자주 거론된다.

그런데도 정작 관가에선 중국을 ‘왜’ 싫어하는지 몰라 대책 마련이 어렵단 말이 나온다. 한일 관계라 하면 과거사처럼 딱 떠오르는 갈등 요인이 있지만 반중 정서를 증폭시킨 배경은 특정하기 어려울 만큼 복합적이라 풀기 어렵다는 것. 메스를 대야 할 부위를 모르니 관계 개선을 위해 선택과 집중을 할 포인트도 잡기 어렵단 얘기다. 한 고위 당국자는 “국민들의 반중 정서 기저에 중국 정부나 정책이 아닌 중국인 자체에 대한 반감이 깔려 있어 해결이 더 어렵다”고 토로했다.

원인 파악이 안 되는 건 중국 정부도 마찬가지인 듯하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는 지난해 동아일보 인터뷰에서 “젊은이들이 잘못된 정보에 오도돼 (한중 젊은 세대 간) 갈등이 생겼다”면서 “코로나19가 안정되면 민심도 회복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하지만 코로나19가 안정된 지금, 양국 국민의 갈등의 골은 더 깊어졌다.

관가 안팎에선 윤석열 정부가 한중 관계에 적극적이지 않은 게 중국의 자업자득이란 말도 나온다. 앞서 문재인 전 대통령은 “중국몽(中國夢)에 함께하겠다”고 손을 내밀었지만 돌아온 건 ‘혼밥’ 굴욕이었다. 현 정부가 대중 정책 기조로 ‘당당한 외교’를 내세운 게 결국 중국의 오만함이 부른 당연한 수순이란 반응이 그래서 나온다.

문제는 속도다. 아직 중국의 영향력이 너무 크다. 특히 포스트 코로나를 계기로 중국 시장은 확실한 성장세다. 좌표는 맞다 해도 속도 조절과 유연함이 필요한 이유다. 미중 외교안보 수장은 최근 만나 8시간에 걸쳐 대화를 나눴다. 미국조차 싸울 땐 싸워도 마지막 안전핀은 꽂아 두고 있다.

80%를 훌쩍 넘는 중국에 대한 비호감 비율은 그래서 더욱 걱정이다. 대중국 정책에 다수를 의식한 정치 논리까지 개입되면 한중 관계의 앞날은 더욱 암울해질지 모른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