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국가경쟁력 평가’에서 올해 한국은 64개국 중 28위에 머물렀다. 지난해 평가에서 네 계단 하락한 데 이어 올해 또 한 계단 내려앉으며 2년 연속 후퇴한 것이다. 반도체 산업 주도권을 놓고 우리와 경쟁하는 대만은 6위, 한국의 중간재 수출 기지인 중국은 21위였다. 주요 경쟁국들에 비해 한국의 국가 역량이 뒤처지고 있다는 뜻이다. 말레이시아(27위)에도 순위가 밀려 충격이 크다.
IMD가 평가하는 4개 주요 항목을 보면 경제 성과, 기업 효율성, 인프라 부문은 개선되거나 지난해와 같았지만 정부 효율성이 36위에서 38위로 두 계단 떨어지며 국가경쟁력을 끌어내렸다. 이 순위는 3년째 하락해 정부의 경제 운용 역량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음을 보여줬다. 정부 효율성 중에서도 외국인 투자 매력도와 노동 관련 규제, 경쟁법 효율성 등을 따지는 기업 여건이 53위로 최하위권이었고 관료주의는 꼴찌 수준이었다. 반기업·반시장 정책들과 지지부진한 구조개혁 등이 반영된 결과일 것이다.
무엇보다 재정 분야 순위가 40위로 8계단이나 추락한 것이 결정적이었다. 국가채무가 지난 5년간 400조 원 이상 늘어 지난해 처음 1000조 원을 돌파하고, 관리재정수지 적자 또한 117조 원으로 역대 최대치를 경신한 영향이 크다. 정부가 나랏빚을 늘리며 방만하게 재정을 운용한 부작용이 국가경쟁력 악화라는 부메랑으로 돌아온 셈이다.
문제는 이 같은 재정 상황이 개선될 여지가 크지 않다는 점이다. 경기 악화와 자산시장 침체 등으로 올해 역대급 세수 펑크가 예상되고, 관리재정수지 적자는 4월까지 45조 원으로 벌써 올해 예상치의 78%에 도달했다. 중장기 재정 건전성이 재정위기를 겪었던 남유럽 국가 수준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분석까지 정부 산하 연구기관에서 나왔다.
이런데도 재정 적자를 일정 비율 이하로 관리하는 재정준칙 법안은 32개월째 국회에서 공전 중이고, 총선을 앞두고 세금을 뿌려 표를 사려는 정치권의 포퓰리즘 경쟁도 심해지고 있다. 국가 경제의 마지막 보루인 재정과 공공 부문 건전성을 지키지 못하면 이미 한계 상황으로 치닫고 있는 가계·기업의 과다한 빚과 맞물려 국가 신인도 하락과 경제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세수는 줄고 복지 수요는 급팽창하는데, 퍼주기 경쟁을 이어가면 국가경쟁력은 더 후퇴할 수밖에 없다. 지금도 나랏빚은 1분에 1억 원 이상씩 늘고 있다.
스위스 국제경영대학원(IMD)이 평가하는 4개 주요항목인 경제 성과, 기업 효율성, 인프라, 정부 효율성등에서, 정부효율성이 지난해 36위에서 올해 38위로 떨어지면서 지난해보다 한단계 낮은 28위로 내려 앉아, 우리와 경쟁하는 6위의 대만, 한국의 중간재 수출 기지인 21위의 중국, 그외 27위의 말레이시아에도 밀렸고, 특히 정부 효율성 평가 항목중 재정분야 순위가 지난해 32위에서 40위로 8계단이나 떨어진것이 결정적 패인이었다 하는데, 지난 5년간 국가채무가 400조원이 늘어 1천조원이 된 영향이 크다니 퍼주기를 근절 바란다.
뭉개놈이 기업 일 못하게 민노총등 불괴이 괴뢰 양성소로 만든 결과가 차츰 나타 난다 뻘개좀비들을 완전 박멸 하지 않으면 말짱 도루목이다 제거에 정권 사활을 걸어라
2023-06-21 10:33:26
문재인이 싼 똥을 치우기 위해 정부는 모든 부분에서 절약해야 한다. 공무원들의 해외연수 부터 없애야 한다. 공무원 수 줄이고 할수 있는 있는건 모두 해야 한다. 관공서 에어컨 끄고 선풍기 돌리기 그리고 그래야 하는 당위성에 대해 공무원들에게 주지시켜야 자발적으로 움직인다. 교육에 문재인이 싼 똥에 대해서 반드시 교육시키여 한다.
2023-06-21 10:30:15
지금은 국가가 아니라 기업이나 자영업자의 삥을 뜯는 거대한 기생충입니다. 소득세나 법인세 준제세에 해당하는 4대보험 이런 부담으로 기업들은 해외로 계속해서 빠져나갈 겁니다.
2023-06-21 08:59:28
문죄앙은 그동안 대한민국만 빼고 주변국에만 좋은일을 하고 있었구먼.....ㅉㅉ
2023-06-21 06:36:28
스위스 국제경영대학원(IMD)이 평가하는 4개 주요항목인 경제 성과, 기업 효율성, 인프라, 정부 효율성등에서, 정부효율성이 지난해 36위에서 올해 38위로 떨어지면서 지난해보다 한단계 낮은 28위로 내려 앉아, 우리와 경쟁하는 6위의 대만, 한국의 중간재 수출 기지인 21위의 중국, 그외 27위의 말레이시아에도 밀렸고, 특히 정부 효율성 평가 항목중 재정분야 순위가 지난해 32위에서 40위로 8계단이나 떨어진것이 결정적 패인이었다 하는데, 지난 5년간 국가채무가 400조원이 늘어 1천조원이 된 영향이 크다니 퍼주기를 근절 바란다.
댓글 6
추천 많은 댓글
2023-06-21 01:17:31
문재인과 더불당이 거국적으로 나라말아먹기에 성공했네. 향후 수십년 퇴행할 것이다.
2023-06-21 06:36:28
스위스 국제경영대학원(IMD)이 평가하는 4개 주요항목인 경제 성과, 기업 효율성, 인프라, 정부 효율성등에서, 정부효율성이 지난해 36위에서 올해 38위로 떨어지면서 지난해보다 한단계 낮은 28위로 내려 앉아, 우리와 경쟁하는 6위의 대만, 한국의 중간재 수출 기지인 21위의 중국, 그외 27위의 말레이시아에도 밀렸고, 특히 정부 효율성 평가 항목중 재정분야 순위가 지난해 32위에서 40위로 8계단이나 떨어진것이 결정적 패인이었다 하는데, 지난 5년간 국가채무가 400조원이 늘어 1천조원이 된 영향이 크다니 퍼주기를 근절 바란다.
2023-06-21 08:59:28
문죄앙은 그동안 대한민국만 빼고 주변국에만 좋은일을 하고 있었구먼.....ㅉ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