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 ‘생명 연장의 꿈’이라는 광고 문구는 많은 사람들을 설레게 했다. 그동안 먹고살기 힘들었던 보릿고개 시대를 지나 이제 우리도 생명 연장을 꿈꾸고 “장수 만세”를 외칠 수 있는 시대를 맞이하게 됐으니까. 그리고 지금 우리는 ‘백세시대’라는 환상 안에서 살고 있다. ‘환상’이라고 얘기하는 이유는 ‘우리가 진짜 100세까지 살 수 있을까?’ 의문이 들기 때문이다. 우리 부모님도 100세까지 못 사셨고, 첨단 의학의 도움을 모두 받았을 대기업 회장님들도 100세까지 못 사셨는데 과연 지금 이 시대를 ‘백세시대’라고 할 수 있을까? 괜히 ‘백세시대’라는 환상에 취해서 “인생 긴데 천천히 하지 뭐!” 이런 나태한 마음이 나를 지배할까 봐 걱정한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올해 초 ‘100세의 철학자’라고 불리는 김형석 교수 다큐에 참여하게 됐다. 김 교수는 1920년생으로 올해 103세가 되셨고 지금도 꾸준히 주 2, 3회씩 강의도 하시고 글도 쓰신다. 김 교수와 인터뷰하면서 “교수님, 오래 살려면 어떻게 해야 되나요?”라는 우문을 던졌는데 “건강한 사람이 오래 사는 게 아닙니다”라는 충격적인 답변을 주셨다. “조심조심 사는 사람이 오래 사는 것 같아요. 친구들 중에 건강하다고 주말마다 등산 다니고, 새벽마다 조기 축구 하던 친구들은 지금 다 세상을 뜨고 없어요. 90세 넘었을 때, 친구들이랑 만나서 얘기해 보니까 모두 어렸을 때 몸이 허약했던 친구들이에요. 몸이 허약하니까 부모님께서 항상 조심조심 살라는 말씀을 많이 하셨거든요. 그래서 조심조심 살다 보니까 지금까지 살아 있는 것 같아요.”
건강은 절대 과신하면 안 된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조심조심 사는 사람이 오래 산다니, 교수님의 말씀은 나에게 오랫동안 기억에 남았다. 그렇게 김 교수의 일상을 담은 방송은 시청률이 잘 나왔고 사람들이 실제 100세가 넘은 분들의 생활을 궁금해한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그래서 좀 더 알아보고 싶어서 검색을 해봤더니 2020년 기준, 우리나라 100세 이상 인구는 2만 명이 넘었다. 100세 이상의 어르신들은 어떤 하루를 보낼까? 아침은 어떤 음식을 먹고 산책은 얼마나 하고 저녁은 몇 시에 드시고, 잠은 몇 시간이나 주무실까? 물론 사람마다 다르고, 체질마다 다를 수도 있겠지만 100세가 넘으신 분들에게는 분명 공통점이 있을 것 같았다. 체력을 과신하지 않고 조심조심 사는 것 외에도 자기만의 루틴, 자기만의 철학이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100세 이상 어르신들의 하루 생활에서 배울 수 있는 습관이나 생활 방식을 배우고, 그분들의 하루 세 끼는 어떤 음식, 어떤 반찬들로 채워져 있는지, 또 꾸준히 드시는 보양식이나 웬만하면 피하는 음식에 대해서도 알아보는 프로그램을 기획 중이다. 아직은 자료 조사를 하는 단계지만 고령화 시대는 걱정하면서 개인적으로는 백세시대에 동참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과 함께 어떻게 살아야 건강한 100세를 맞이할 수 있는지 고민해 볼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