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산드르 마체고라 북한 주재 러시아대사가 2일 타스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러시아와 중국의 연합 군사훈련에 북한을 포함하는 구상에 대해 “상당히 적절해 보인다”고 말했다. 마체고라 대사는 ‘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이라고 전제했지만, 북-중-러 3국 연합훈련의 필요성을 정면으로 제기한 것이다. 북한은 그간 다른 나라와의 연합훈련에 참여한 적이 없다. 우리 국가정보원도 7월 말 방북한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면담에서 해상 연합훈련을 공식 제의한 것으로 파악했다고 어제 국회 보고를 통해 밝혔다.
북-중-러 연합훈련은 아직 러시아의 희망 사항이 담긴 대북 제안 단계로 보인다. 다만 그것이 현실화할 가능성도 적지 않은 게 사실이다. 우크라이나에서 끝도 모를 소모전의 수렁에 빠져 있는 러시아로서는 당장 북한의 군사적 지원이 절실한 형편이다. 중국이 직접적인 군사 지원은 거부하고 있는 터라 러시아는 북한에 매달릴 수밖에 없고 북한도 고립과 궁핍에서 벗어날 기회로 여기고 있다. 이미 북한산 탄약이 은밀히 러시아에 흘러 들어간 정황이 곳곳에서 포착됐고, 특히 7월 말 쇼이구 국방장관의 북한 열병식 참석 이래 북-러는 고위급 실무교류를 통해 구체적 이행을 협의하는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한미 당국은 보고 있다.
그런 양자 간 군사협력이 3국 연합훈련으로 확대될지는 미국과의 대결을 피하는 중국이 얼마나 호응하고 나설지에 달렸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더욱 장기화하고 미중 전략경쟁이 격화할수록 그 현실화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다. 지난해부터 부쩍 강화된 중-러 연합훈련에 북한까지 끼면 독재국가 3국 군사협력이 공식화된다. 특히 동아시아에선 한미일 3각 공조에 대항하는 북-중-러 3각 체제가 맞서면서 한국은 그 대결의 최전방에 서게 된다.
최근 러시아는 우리 정부에 8·18 한미일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 이래 3국 간 밀착에 불편한 심기를 내보이며 경고 메시지를 보내왔다고 한다. 이웃 국가의 주권을 유린하고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을 감싸 온 러시아가 그럴 자격이 있는지 의문이지만, 난폭한 국제현실 속에서 한미일 3각 공조에만 기댈 수는 없다. 우리 국민과 기업에 피해가 없도록 각별히 대비하고 한층 고도화할 북핵 위협, 우발적 충돌 가능성 같은 진영대결 리스크에 주도면밀하게 대응할 외교전략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