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개의 섬, 100개의 길을 하나로 잇다[김창일의 갯마을 탐구]〈101〉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9월 13일 23시 33분


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김창일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섬을 섬이게 하는 바다와/바다를 바다이게 하는 섬은/서로를 서로이게 하는/어떤 말도 주고받지 않고/천년을 천년이라 생각지도 않고.’(고찬규의 ‘섬’) 바다에 둘러싸여 고립되고 육지로부터 단절된 땅. 그래서 어느 시인은 외롭지 않으면 섬이 아니라고 노래했는지도 모른다.

연평도에서 사계절을 상주하며 해양문화를 조사한 적이 있다. 유소년 시절, 창선도에서 성장했으니 섬 생활에 쉽게 적응할 줄 알았는데 아니었다. 고립감을 견디기 위해 매일 저녁 연평도 둘레길을 걸었다. 눈비가 내리지 않는 한 빠짐없이 걷고 또 걸었다. 200회 이상 섬 해안길을 완주한 듯하다. 그 시절, 연평도 둘레길은 외로움을 달래는 위안이었다.

길이 없는 섬이 훨씬 많다. 오랜 세월 사람이 걸었던 흔적이 길이므로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무인도에는 길이 없다. 바다의 지문은 섬이고, 유인도의 지문은 길이다. 우리 바다에 있는 3382개의 섬 중에서 유인도가 464개, 무인도가 2918개다. 약 150만 명이 섬에 거주한다. 전체 인구의 3%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어업 기지, 영해 확장, 생태계 보고, 군사 요충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고 요즘은 휴양지로 각광받고 있다.

얼마 전 (사)섬연구소에서 걷기 좋은 섬길 100곳을 선정해 섬길을 하나로 연결하는 ‘백섬백길’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홈페이지를 열었다. 강제윤 섬연구소장은 백섬백길은 섬연구소가 지난 10년간 100개의 섬길을 몇 번씩 걸으며 완성한 대한민국 섬길 종합안내소라고 말한다. 최북단 백령도에서 최남단 마라도까지 섬의 길들은 하나로 이어지지 못하고 저마다 고립돼 있었다. 백섬백길의 의미는 1코스 연대만지도 지겟길에서 100코스 울릉도 해담길까지 섬과 섬을 잇는 통로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이로써 섬길과 섬길을 하나로 이은 728km는 통합의 길이 됐다. 그동안 섬에서의 길은 바다에서 시작해 바다로 끝났다. 백섬백길이 연결됨으로써 길은 섬에서 시작해 섬으로 끝난다.

강 소장은 섬연구소의 모체인 섬학교를 설립한 뒤 10년간 연인원 3000여 명의 회원들과 100개의 섬길을 답사했다. 이를 바탕으로 섬연구소 연구원들과 1년간 현장 정밀 재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더한 정보를 업데이트해 백섬백길 사이트를 완성했다. 중앙정부나 지자체에서 못한 일을 작은 민간 연구소에서 지원금도 받지 않고 해냈다. 프로젝트가 완료됐다는 소식을 듣고 홈페이지를 열어봤다. 백섬백길 프로젝트를 시작한 계기를 설명하고 있었다. “제주올레 이후 전국의 섬들에도 우후죽순처럼 걷기 길들이 생겨났습니다. 하지만 유명해진 극히 일부의 섬길들만 이용될 뿐 대다수 섬길들은 무관심 속에 버려져 있습니다. 우리의 세금으로 만든 길들이 방치되는 것을 안타깝게 여긴 섬연구소에서 섬길을 되살리고 섬들을 활성화할 방법을 찾기 위해 백섬백길 프로젝트를 시작했습니다.” 사이트에는 지도, 코스 정보뿐만 아니라 교통편, 편의시설, 섬의 역사와 문화, 풍속과 설화까지 소개하고 있었다.

한꺼번에 백섬백길을 만날 수 있는 자리가 서울 종로구 청운동 류가헌에 마련된다(9월 19일∼10월 1일). 백섬백길을 알릴 목적으로 기획됐지만, 강 소장이 지난 20년간 섬을 기록한 발자취이기도 하다. 섬 탐색을 평생 업으로 삼은 그의 길이 사진에 담겨 있을 터.

#100개의 섬#100개의 길#길 없는 섬#백섬백길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