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세수 펑크’ 돌려막기에 ‘환율 방어 비상금’까지 동원하나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9월 19일 23시 53분


코멘트
정부가 올해 59조 원의 세수 부족을 공식화하고 대규모 외국환평형기금(외평기금) 등을 동원해 이를 메우겠다고 했다. 수출과 내수의 동반 부진으로 역대 최악의 세수 펑크가 현실화되자 내놓은 대응책이다. 국가채무가 1000조 원을 돌파한 상황에서 국채 발행을 통한 추경 편성 없이 세수 펑크를 해결하겠다는 고육책이지만, 외환시장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어 우려스럽다.

기획재정부가 그제 발표한 세수 재추계 결과에 따르면 올해 세수 부족분 가운데 지방교부금 23조 원을 제외하고 중앙정부가 채워 넣어야 할 몫은 36조 원이다. 기재부는 이를 공공기금 여유 재원 24조 원과 전년도 세금에서 쓰고 남은 세계잉여금 4조 원, 통상 매년 10조 원 정도 발생하는 불용 예산 등으로 메우기로 했다. 특히 공공기금 중에서도 외평기금에서 20조 원을 끌어다 쓰기로 했다.

외평기금은 급격한 환율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 원화와 외화를 기금 형태로 쌓아둔 것으로, 지난해 말 기준 269조4000억 원에 이른다. 작년부터 치솟은 원-달러 환율을 안정시키기 위해 외환 당국이 달러를 팔고 원화를 사들이면서 상당 규모의 원화가 쌓였다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외평기금으로 세수 부족분을 메워도 외환시장 안정에 충분한 여력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환율이 언제 다시 요동칠지 모르는 상황에서 ‘외환 방파제’ 역할을 하는 외평기금을 꺼내 쓰는 건 신중해야 한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이 막바지 국면에 다다른 만큼 달러 강세 기조가 급반전되면 기금 대응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2020년 전국민 재난지원금 지급 때도 외평기금에서 2조8000억 원을 가져다 쓴 적이 있지만 이번엔 규모가 훨씬 크다. 환율 방어에 써야 할 외평기금의 변칙적 사용이 굳어지는 건 아닌지 우려된다.

더군다나 외평기금 재원은 정부가 지급 보증 형식으로 발행하는 외평기금채권으로 조성된다. 적자 국채 발행을 피하더라도 또 다른 나랏빚을 내 돌려 막기를 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세수 펑크를 메우려면 세수 기반을 확충하고 재정 지출 누수를 막는 정공법이 우선 돼야 한다. 이런 근본 대책 없이 ‘환율 비상금’인 외평기금에 손대는 미봉책이 되풀이돼선 안 된다.


#정부#세수#환율#외환시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