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평인 칼럼]복원된 광화문 월대와 현판에 대해 말하지 않는 것들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0월 17일 23시 51분


광화문 월대는 자랑스러운 고유 양식 아냐
일제가 없애지 않아도 없어졌을지 모를 것을
광화문과 광장을 잇는다는 강박관념으로
시민 안전의 위협에도 복원했다

송평인 논설위원
송평인 논설위원
광화문 월대가 복원됐다. 월대 복원 권고는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가 문화재청장이던 2006년 문화재위원회에서 처음 나왔다. 광화문의 위용을 강조하며 복원을 권고했다. 그로부터 4년 뒤인 2010년 광화문은 새로 복원되면서 충분히 위용을 갖췄다. 이번에 월대 복원으로 위용이 더해졌다고들 하지만 과도해진 느낌도 있다.

이런 느낌은 근거가 없지 않다. 조선 세종 당시 광화문 월대를 만들자는 제안이 처음 나왔을 때 그 이유는 관리들이 광화문 앞까지 말 타고 와서 내리는 모습이 무엄하고, 중국 사신을 맞이할 때 바로 문으로 들어오게 하는 게 무례하다는 것이다. 월대는 한편으로는 임금의 권위를 강화하고, 한편으로는 중국에 대한 사대(事大)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세종은 거부했다. 왕은 중국 사신이 오면 지금의 독립문 근처에 있던 모화루에 가서 직접 사신을 영접한 뒤 사신을 궁궐로 모셔 중국 황제의 칙서를 받았다. 입궐할 때 월대의 어도에서 사신이 앞장서고 왕이 뒤를 따른다. 세종은 ‘굳이 그렇게까지’ 생각했을지 모른다. 월대가 만들어진 건 흥선대원군 때로 조선이 망하기 고작 수십 년 전이다.

월대가 복원된 마당에 다시 어쩌라고 할 수는 없다. 다만 문화재청이 불러주는 걸 받아쓰는 식으로 월대를 미화하는 건 곤란하다. 광화문 월대가 임금과 백성이 소통하는 자리라는 건 근거가 없다. 오히려 그 반대다. 월대가 없던 시절 광화문 밖에서 행사가 열렸다는 기록은 간간이 있다. 월대가 만들어지면서 오히려 행사는 사라졌다. 감히 누가 어도 위에서 연희를 벌이겠는가.

월대가 중국과 일본에는 없는 한국 궁궐의 고유 양식이라는 건 기만이다. 월대는 본래 목조 건물에는 필수 구조물이다. 목조 건물은 바닥에 돌로 기단을 쌓고 그 위에 짓기 때문에 기단까지 올라가는 계단 같은 구조물이 필요하다. 목조 전각(殿閣)에는 다 월대가 있다. 문도 창덕궁의 돈화문과 덕수궁의 대한문은 목조 문이어서 길지는 않더라도 짧은 월대는 필요했다.

그러나 경복궁의 광화문은 문루만 목조일 뿐 문을 감싸는 아랫부분은 석조다. 이런 곳엔 월대가 필요 없다. 숭례문 등 한양 도성의 문도 같은 구조여서 월대가 없다. 중국 자금성의 천안문도 월대가 없다. 천안문은 우리로 치면 도성 문이어서 그렇다고 하자. 그러나 그 안의 궁궐 문이라고 할 수 있는 단문과 오문에도 월대가 없다. 경복궁의 근정전에 해당하는 태화전의 입구인 태화문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월대가 나타난다. 광화문 월대는 자랑스러운 고유 양식이 아니라 과도한 권위주의와 사대주의가 건축에까지 영향을 미쳐 빚은 과잉이다. 일제가 없애지 않았어도 근대화 과정에 우리 스스로 없앴을 수도 있었던 것이다.

문화재청이 그리 똑똑하지 않다. 광화문 현판만 봐도 알 수 있다. 6·25전쟁 때 불탔다가 1969년 콘크리트로 복원된 광화문을 제대로 다시 복원하는 과정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쓴 한글 현판도 교체한다는 결정이 2005년 유 청장 때 이뤄졌다. 문화재청은 유 청장 시절부터 박 전 대통령 글씨를 떼고 다른 글씨로 대체하는 데만 골몰해 정작 현판의 고증은 뒷전이었다.

이번에 내걸린 현판은 ‘검은 바탕에 금색 글씨’다. 박 전 대통령 때의 현판은 ‘검은 바탕에 흰색 글씨’로 큰 틀에서는 비슷했다. 2010년 광화문 복원과 함께 내걸렸다가 이번에 교체된 현판은 터무니없게도 ‘흰색 바탕에 검은 글씨’였다. 일제강점기 광화문을 그린 채색화에도 나오는 검은 바탕을 무시했다가 당한 낭패다.

문화재청은 숭례문에 주변 도로를 없애 가면서 무리하게 성벽을 단 뒤 관리 능력도 부족한 상황에서 공원화까지 했다가 문을 태워 먹은 일도 있다. 그것도 2008년 유 청장 때 일이다.

경복궁에는 광화문 월대보다 더 시급한 복원 과제가 많은데도 월대 복원이 우선시된 것은 경복궁-광화문-광화문광장을 연결시켜 업적으로 삼으려는 시도가 그것을 원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광화문 앞 도로를 모조리 없애 전근대로 돌아가지 않는 한 광화문과 도로 사이에 월대를 끼워 넣는 건 공간적 모순만 증폭시킬 뿐이다. 월대로 차선이 휘면서 차량 정체가 심해지고 교통사고가 빈발하고 있다. 횡단보도도 시야가 제한되는 위험한 곳에 설치돼 밤에는 아찔하다. 문화재 복원도 실사구시(實事求是)해야 한다.

#복원된 광화문#월대#현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