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치인의 불출마 선언이 잇따르고 있다. 대선 및 상하원 의원 선거가 치러지는 내년 11월까지 1년 가까이 남았지만 벌써 38명째다. 이 중 절반은 주지사나 상원의원 등 다른 선출직에 도전하겠다지만 절반은 말 그대로 “정치를 떠난다”고 했다. 긴 연말 휴가를 마치는 1월 중에 불출마 선언이 더 나올 전망이다. 2022년과 2018년의 55명 불출마 기록이 깨질 듯하다. 상원 100명, 하원 435명 가운데 10% 정도다.
▷워싱턴에서 현역의원의 정치 포기가 주목받는 것은 손에 쥐다시피 한 재(再)당선을 포기하는 결심이어서 그렇다. 지난 20년간 90% 넘는 선거구에서 ‘재출마는 곧 당선’이었다. 미국에선 물갈이 전략공천이란 제도가 없다. 현역의원에게 별 하자가 없다면 경선에서 승리해 출마한다. 2022년 상원 선거 때 33곳에 출마한 현역의원은 전원 당선됐다. 재출마한 하원의원은 94.5%가 승리해 돌아왔다. 현역 공천 탈락이 30∼40%를 넘나드는 한국과는 비교가 안 된다.
▷현역 재당선은 TV 광고의 역할이 크다는 게 정설이다. 미국 상업 광고에선 자동차건 세탁비누건 경쟁 제품 깎아내리기가 허용된다. TV 선거광고도 마찬가지로 상대 후보 꼬집기가 넘쳐난다. 이런 TV 광고에 방송 횟수 상한선이 대체로 없다. 정치자금이 넉넉한 다선 현역의원이 TV 광고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밖에 없다. 일견 불공정한 이 제도는 미 대법원의 1976년 판례 때문에 고치기도 쉽지 않다. 대법원은 “TV 광고에 상한선을 두는 것은 ‘정치적 발언을 가로막는 것’으로, 수정헌법 1조의 표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판시했다.
▷불출마 의원들은 막장 정치를 이유로 꼽았다. 5선 하원의원인 켄 벅(64)은 “우리는 길을 잃었다. 트럼프의 대선 패배 부정을 똑바로 다루지 못했다”고 말했다. 공화당 소속으로 초강경 노선을 걸었지만 당의 난맥에 일침을 가한 것이다. 이 밖에도 “워싱턴이 부서졌다(broken)”거나 “트럼프 계파의 혐오 정치가 문제”라는 표현이 불출마 선언문에 담겼다. 이런 자조와 무기력이 워싱턴 의사당에 퍼져 가자 공화당의 빌 하이징아 의원(54)은 “이렇게 의원 생활을 한다면 내 시간과 노력이 아깝지 않은가 묻게 된다”고 털어놓는다.
▷미 의회는 실질적 권한과 국정 참여의 명예가 존중받던 곳이다. 예산발의권도 의회에만 있고, 대통령도 의회 동의 없이는 전쟁을 치르지 못한다. 그런 미 의회가 안으로부터 흔들리고 있다. 불출마 선언을 한 하원의원은 “어린아이 칭얼거림 같아진 워싱턴 정치는 더 이상 최고의 인재를 끌어들일 만한 곳이 못 된다”고까지 평가했다. 미국 정치의 하향 평준화를 걱정하는 말인데, 우리 여의도 정치에 적용해도 낯설지 않게 느껴진다는 점이 안타깝다.
정치인이 되려면 애국,애족은 물론이고 국제관계와 인류의 미래를 고민할줄알고 그에 걸맞는 역량을 갖춘 사람이어야 할것이다.귀 얕은 다수의 마음만 사는 사술,능변으로 정계에 들어와 사익과 인기에 몰두하는 자들이 대다수일때 그나라의 장래는 어찌될것인가? 큰그릇 인재들에게 매력적인 정계가 되기를 바란다.
2023-11-28 15:42:07
미국은 풀뿌리 정치다 밑에서 부터 당원들이 투표해야 나가는 것이다. 당원들의 신뢰를 못받는 것들은 은퇴 할 수밖에 없다.일사불란한 당노선에 반대하고 당원들 열받게 하는 짓이나 하는것들은 당에서 퇴출된다. 우리나라도 당원투표로 후보를 정한다면 퇴출될 인간들 많을 것이다. 그러니까 당원들과 지도부의 괴리가 생기는것이다. 이준석 이런 인간들 미국같으면 진작에 정치 생명 끝난것이다. 언론에서 부채질해서 그렇치
2023-12-01 22:51:52
미국이 '유럽이나 아시아'보다 왜 역동적 국가였냐면 관료주의 멀리하는 미. 의회 전통 때문였는데 '(산유국들도 그렇다지만)정치 하고 싶으면 5 % 웃돈, 이자 내라: PRC' 위안화 앞에 그 후로 '아시아'권만 해도 국부 내다 판 국가들이 한둘이 아니고 금융 위기, 부도난 국가들이 또 많고, 그 국가들에 평화 봉사단 보내고 식량 보내던 시절처럼 미국이 친구 만들고 개입할 수 있는지 생각만 해도 (나도, 우리도 힘든데 생각만 들고) 괴로우니 의회 떠나는 사람들이 늘고 그럴 때 '쿠테타' 일어나는 건데 정말 그런 일까지, 괴로운 거죠.
미국이 '유럽이나 아시아'보다 왜 역동적 국가였냐면 관료주의 멀리하는 미. 의회 전통 때문였는데 '(산유국들도 그렇다지만)정치 하고 싶으면 5 % 웃돈, 이자 내라: PRC' 위안화 앞에 그 후로 '아시아'권만 해도 국부 내다 판 국가들이 한둘이 아니고 금융 위기, 부도난 국가들이 또 많고, 그 국가들에 평화 봉사단 보내고 식량 보내던 시절처럼 미국이 친구 만들고 개입할 수 있는지 생각만 해도 (나도, 우리도 힘든데 생각만 들고) 괴로우니 의회 떠나는 사람들이 늘고 그럴 때 '쿠테타' 일어나는 건데 정말 그런 일까지, 괴로운 거죠.
2023-11-28 22:20:57
미국에서 현역 정치인들이 불출마를 선언하면서 정치의 불확실성과 문제점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TV 광고의 영향력과 막장 정치, 트럼프 대선 논란이 정치인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이는 미국 정치의 현실적 어려움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불출마 의원들이 지적한 워싱턴의 부서진 정치 환경은 정치의 평준화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며, 이는 국내 정치에도 유사한 동향이 있음을 살펴보게 됩니다.
2023-11-28 15:42:07
미국은 풀뿌리 정치다 밑에서 부터 당원들이 투표해야 나가는 것이다. 당원들의 신뢰를 못받는 것들은 은퇴 할 수밖에 없다.일사불란한 당노선에 반대하고 당원들 열받게 하는 짓이나 하는것들은 당에서 퇴출된다. 우리나라도 당원투표로 후보를 정한다면 퇴출될 인간들 많을 것이다. 그러니까 당원들과 지도부의 괴리가 생기는것이다. 이준석 이런 인간들 미국같으면 진작에 정치 생명 끝난것이다. 언론에서 부채질해서 그렇치
2023-11-28 10:00:18
정치도 일단 재미가 있어야 하는데, 미국정계도 늙은 노인네들이 욕망에 이글거리는 눈빛으로 술 취한 듯 비틀거리는 모양새가 되다보니 유능한 젊은 세대들이 정치에 재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세계 정치도 전혀 흥미롭지 못하다. 시진핑과 푸틴은 황제 노릇으로 세계를 흔들기만하고 있으니 미국등 서구 자유민주우 진영에서는 이들과 대화조차 하기 싫은 정치인들도 많은 것 같다.
2023-11-28 02:36:33
정치인이 되려면 애국,애족은 물론이고 국제관계와 인류의 미래를 고민할줄알고 그에 걸맞는 역량을 갖춘 사람이어야 할것이다.귀 얕은 다수의 마음만 사는 사술,능변으로 정계에 들어와 사익과 인기에 몰두하는 자들이 대다수일때 그나라의 장래는 어찌될것인가? 큰그릇 인재들에게 매력적인 정계가 되기를 바란다.
댓글 5
추천 많은 댓글
2023-11-28 02:36:33
정치인이 되려면 애국,애족은 물론이고 국제관계와 인류의 미래를 고민할줄알고 그에 걸맞는 역량을 갖춘 사람이어야 할것이다.귀 얕은 다수의 마음만 사는 사술,능변으로 정계에 들어와 사익과 인기에 몰두하는 자들이 대다수일때 그나라의 장래는 어찌될것인가? 큰그릇 인재들에게 매력적인 정계가 되기를 바란다.
2023-11-28 15:42:07
미국은 풀뿌리 정치다 밑에서 부터 당원들이 투표해야 나가는 것이다. 당원들의 신뢰를 못받는 것들은 은퇴 할 수밖에 없다.일사불란한 당노선에 반대하고 당원들 열받게 하는 짓이나 하는것들은 당에서 퇴출된다. 우리나라도 당원투표로 후보를 정한다면 퇴출될 인간들 많을 것이다. 그러니까 당원들과 지도부의 괴리가 생기는것이다. 이준석 이런 인간들 미국같으면 진작에 정치 생명 끝난것이다. 언론에서 부채질해서 그렇치
2023-12-01 22:51:52
미국이 '유럽이나 아시아'보다 왜 역동적 국가였냐면 관료주의 멀리하는 미. 의회 전통 때문였는데 '(산유국들도 그렇다지만)정치 하고 싶으면 5 % 웃돈, 이자 내라: PRC' 위안화 앞에 그 후로 '아시아'권만 해도 국부 내다 판 국가들이 한둘이 아니고 금융 위기, 부도난 국가들이 또 많고, 그 국가들에 평화 봉사단 보내고 식량 보내던 시절처럼 미국이 친구 만들고 개입할 수 있는지 생각만 해도 (나도, 우리도 힘든데 생각만 들고) 괴로우니 의회 떠나는 사람들이 늘고 그럴 때 '쿠테타' 일어나는 건데 정말 그런 일까지, 괴로운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