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12월 12일 밤 10시 조금 넘은 시각. 한 무리의 군인들이 서울 광화문 동아일보사(현 일민미술관 건물)에 들어섰다. 수도경비사령부(수경사·현 수도방위사령부) 마크를 단 군인들이 총기를 들고 각 층마다 진입해 창문을 열고 밖을 향해 사격 자세를 취했다. 군인들은 1층과 옥상을 수시로 쉴 새 없이 오르락내리락하면서 무전 교신을 했다.
새벽 3시경 ‘병력을 이동시키라’는 무전 연락을 받은 뒤 수경사 병력들은 철수했다. 새벽 4시경 이번엔 공수부대 병력이 동아일보사에 진입했다. 먼동이 틀 무렵인 6시 반, 또 다른 병력이 진입한다. 그날을 떠올리던 동아일보 기사(1987년 11월 21일 9면)는 이렇게 덧붙인다. “공수부대는 수경사 병력으로 교체됐으나 이들은 처음 왔던 수경사 병력과는 성격이 전혀 다른 군인들이었다.”
서울 한남동에서 총소리를 들었다는 시민 전화를 받고 현장 취재에 나간 기자들과 회사에 소집된 기자들은 급변하던 그날 상황을 각각의 역사적 현장에서 지켜봤다. 그리고 13대 대선을 한 달여 앞둔 1987년 11월 특집 연재 기획 ‘12·12 수수께끼’(1987년 11월 14∼24일)를 통해 상당 부분 베일에 가려져 있던 그날의 세부를 까발렸다. 그때 기록을 보면 지금도 서늘하게 느껴지는 구석이 있다.
‘유신통치 기간 중 중앙정보부와 청와대 비서실 지침에 의해 움직인 관습에 젖은 행정부처는 물론 사법부까지도 계엄 업무와 관련이 없는 일반 소관 업무조차 계엄사령부에 세부 지침을 요구하거나 지침이 없다는 이유로 직무를 정상적으로 집행하지 않는 분위기였다. 이처럼 힘의 행사를 요구받기 시작한 군 조직 내부에서 주도권을 잡고자 하는 파워 게임이 전개되는 현상은 권력의 속성상 필연적인 일일지도 모른다. (중략) 국가 위기 상황에서 군이 근본 임무에 충실치 않고 실력자끼리 힘의 대결을 벌이다 민주화를 8년이나 늦어지게 한 사건이라는 역사적 심판도 면할 수 없다.’(1987년 11월 23일 5면)
여기서 기사는 12·12 군사반란이 권력의 속성을 드러내고 민주화를 늦춘 사건이라는 의의를 중시한다. 역사의 소용돌이에 휘말린 이들 각자의 대의나 욕망은 기사에선 모두 의견이자 주장으로만 처리된다. 그리고 어떤 주장이나 의견도 역사적 심판(민주화를 늦어지게 한 사건)이나 의의를 넘어설 순 없다. 기사는 증언을 최대한 수집하되 진실은 대립하는 의견 속 어딘가쯤에 위치한다고 여긴다.
예컨대 최규하 당시 대통령을 두고선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정승화 육군참모총장 연행 재가 요청을 물리친 것은) 최선의 선택’이었다는 의견과 “정승화 총장이 12월 9일 급박하게 전두환 보안사령관의 전보 인사를 대통령에게 건의했지만, 별 조치 없이 48시간을 끌었다”란 김치열 전 법무부 장관 비판이 상존한다는 점을 당시 기사는 밝히고 있다. 우유부단해 실기했다거나 군 실세의 재가 요청을 물리친 강골이라는 상반된 평가 중간 어디쯤 진실이 있을 것이다.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되, 역사적 의의를 무겁게 여기는 것. 또 반대로 결론을 엄연하게 여기되 동시에 역사 주체들의 의도와 다른 가능성을 생각해보는 것. 냉정한 역사 인식은 이 사이를 오가는 것이어야 한다.
12·12 군사반란 당일 긴박한 시간을 다룬 영화 ‘서울의 봄’은 팩트에 기반한다지만 캐릭터를 명확하고 단순하게 설정해, 많은 부분 상상력에 기댄 의견임을 숨기지 않는다. 그동안 12·12 군사반란에 대한 방송 재연극이 다수 있었는데, 이전과는 다르다는 인상을 강하게 풍긴다. 그동안의 재연이 대부분 신군부 세력이 어떻게 권력 획득에 성공했는지를 조명하는 데 집중했던 반면 이번엔 진압군의 실패 과정에 초점이 맞춰지며 중심축이 옮겨갔기 때문이다. 기존 서사 중심축을 흔들기 위해 영화 편집은 훗날 신군부 세력과 반란을 진압하는 육군본부 지휘체계를 빠르게 오가며, 진영을 교차하는 것만으로도 팽팽한 기싸움이 느껴지게끔 한다.
영화는 주요 인물의 동기를 대의와 욕구로 단순하게 처리하는데, 이 점은 역사를 납작하게 만든다는 비판과 서사성을 끌어올려 극 자체의 몰입감을 높인다는 평가가 공존할 만하다. 충실한 재연이라는 측면만 놓고 보면 드라마 ‘제5공화국’ 등 기존 재연극에는 못 미치지만 역사적 사실에 대한 환기라는 면에선 호소력이 있다.
12·12 군사반란을 다룬 다른 재연극들이 대개 5공의 종말까지 다루면서 권력 앞에 의리란 덧없다는 교훈까지 나아가는 것과 달리, 영화는 그저 권력욕이 비루하다고 보여주는 쪽에 가깝다. 정말이지 권력이란 무엇일까. 서울의 봄을 비롯한 숱한 해석들과 여러 관점 속에서 전체적인 그림을 맞춰보고 싶어진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