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제22대 총선이 120일 앞으로 다가왔다. 오늘부터 지역구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된다. 총선 레이스의 ‘예비종’이 울린 셈이다. 정치권에 대한 국민 신뢰가 바닥인 상황에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저마다 변화와 혁신을 공언했지만 달라진 게 없다. 여당 혁신 논의는 기득권 반발에 흐지부지되고 있고, 야당은 친명 체제 강화를 놓고 분란에 휩싸였다.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회는 어제 사실상 ‘빈손’으로 활동을 종료했다. 내년 총선에서 서울 49개 지역구 중 우세를 보이는 곳은 강남 6곳에 그친다는 자체 분석 결과가 최근 공개됐고, 일부 여론조사에선 정부 견제론이 늘어나며 정부 지원론과의 격차가 현 정부 출범 이후 최대로 벌어졌다. 그런데도 혁신위의 ‘지도부·중진·친윤 희생’ 요구에 당사자들은 꿈쩍도 않고 있다. 혁신위도 당 안팎에서 핵심 문제로 지적됐던 ‘수직적 당정관계 개선’에 대해선 함구했다. 서울 강서구청장 보선 참패로 발을 뗀 혁신 논의가 별다른 성과 없이 시간만 끌다 막을 내린 셈이다.
민주당 사정도 별반 다를 게 없다. 최근 중앙위원회를 열고 권리당원 표의 반영률을 높이는 당헌 개정을 완료했는데, 이는 이재명 대표 강성 지지자인 이른바 ‘개딸’의 영향력을 제도적으로 강화한 것이다. 총선 경선에서 현역 의원 페널티를 강화하는 규정도 함께 통과시키는 등 친명 체제 강화에만 열을 올리고 있다. 강성 팬덤, 코인 논란, 전당대회 돈 봉투 의혹 등으로 당의 이미지가 추락했지만 강서구청장 보선 승리 이후 쇄신 목소리는 쏙 들어갔다. 공천 탈락 위기에 몰린 비명계 일부가 모임을 결성하는 등 반발하며 당권 내홍만 커지고 있을 뿐이다.
두 당 모두 유권자들의 비호감도가 60%에 달할 만큼 호감도보다 두 배가량 높은 상황이 1년 넘게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도 두 당은 국민들의 마음을 얻는 데 주력하기는커녕 당내 기득권 지키기나 당권 강화에만 혈안이다. 제3지대 움직임이 꿈틀대는 것도 이 같은 여야의 행태와 무관치 않다. 두 당은 혹독한 혁신 경쟁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어느 쪽이 기득권 지키기, 정쟁의 구태를 끊어내고 새로운 정치를 이끌 역량을 갖춘 정당인지 가릴 때가 다가오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