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尹 대통령 올해는 신년 기자회견해야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12월 31일 23시 54분


오늘 집권 3년 차를 시작하는 윤석열 대통령은 경제와 안보 등 국정 전반에 대해 다양한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대국민 소통에서는 후한 점수를 받기 어렵다는 데는 이론이 크지 않을 것이다. 대표적인 게 실종된 기자회견이다. 취임 100일 회견을 한 2022년 8월 이후 정식 기자회견이 없었다. 그해 11월 도어스테핑 중단 후로는 정상회담 공동 기자회견을 제외하면 공개된 자리에서 취재기자의 질문을 받지 않았다. 정식 회견은 직선제로 선출된 대통령 가운데 빈도가 가장 낮은 쪽이다.

사라진 기자회견은 대통령의 당초 약속과는 거리가 멀다. 윤 대통령은 당선 직후 “참모들 뒤에 숨지 않고 정부 잘못을 고백하고 이해를 구하겠다”고 말했다. 또 100일 회견 때는 “질문받는 대통령이 되겠다”고 약속했다. 현실정치 경험 없이 당선된 대통령으로서 새 정치에 대한 다짐과 대국민 설명 책무를 떠올렸을 것이다. 그러나 이후 벌어진 상황은 실망스럽다. 대통령은 주로 국회 연설, 현장 간담회, 국무회의 발언을 통해 국정 구상을 밝혔다. 국민들이 듣고 싶고 궁금해하는 걸 대신 묻는 기자들의 질문을 피했다. 쌍방향 소통이 아니었고, 들려주고 싶은 것만 알리는 절반의 소통이었다. 이런 지적이 1년 가까이 반복됐지만 방치됐다.

윤 대통령은 1월 중 신년 기자회견을 열어야 한다. 그동안 북한 도발 등 안보 상황, 한일 한중 관계, 물가 및 부동산 정책에 이르기까지 설명을 못 들은 의제가 산적해 있다. 더 미룰 여유가 없다. 야당이 김건희 특검법을 강행 처리하자 대통령실은 1월 초쯤 거부권 행사를 예고했다. 찬성 여론이 높음에도 대통령이 특검법을 백지화하려는 이유를 국민은 궁금해한다. 대통령은 기자들의 질문, 추가 질문을 받아가며 생각과 심경을 밝힐 기회를 가질 필요가 있다. 국민들은 대통령의 발언과 표정은 물론이고 단호함과 머뭇거림까지 지켜보며 대통령의 진심을 판단할 것이다.

대통령은 그 신년 회견에서 회견 정례화도 제안하길 기대한다. 올해 중 몇 차례 더 만나겠다고 약속하면 더 좋다. 국민적 관심을 집중시키는 대통령의 기자회견은 특권인 동시에 책무다. 질문받는 것을 정치적 부담이라고 여겨선 안 된다. 생중계되는 기자회견은 국정을 더 깨어 있게 하고, 긴장의 고삐를 더 쥐게 하는 민주정치의 기본 요소이다.
#尹 대통령#기자회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