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전공 선발’ 제도 안착하려면[기고/하연섭]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월 7일 23시 18분


하연섭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전 연세대 국제캠퍼스 부총장)
하연섭 연세대 행정학과 교수(전 연세대 국제캠퍼스 부총장)
학령인구 감소와 4차 산업혁명으로 대표되는 변화 속에 대학 혁신이 시대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대학 혁신의 기본 방향은 대학의 자율성 확대와 유연성 제고다. 대학이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반응하면서,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대학에 높은 자율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대학의 자율성 확대가 반드시 대학의 혁신으로 연결되는 건 아니다. 자칫 공급자의 일방적 조치로 학생이 원하는 학습과 산업이 원하는 인재 양성이 이뤄지지 않을 위험성도 있다. 이 때문에 대학의 자율성 못지않게 중요한 대학 혁신의 축은 대학의 유연성 확대라고 할 수 있다.

급격한 기술 변화는 인재상과 인재 수요의 변화를 촉발하는 동시에, 인재에 대한 수요 예측을 어렵게 한다. 결국 인재 육성 정책의 핵심은 인재 양성기관이 산업구조 변화에 탄력적으로 반응해 인재를 양성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최근 교육부에서 전공의 벽을 허물고 무전공 선발을 도입하는 등 학생의 전공 선택권 확대를 강조하는 것도 급변하는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제도 안착까지 해결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

첫째, 전공 간 벽 허물기에 있어 정부는 대학이 전공 선택권을 확대하도록 지원하는 촉매제 역할에 충실해야 한다. 대학 혁신의 주체는 대학인 점을 감안해 정부는 방향성을 제시하고 대학 스스로 자율성과 혁신성을 갖고 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둬야 한다는 의미다.

둘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엔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성 못지않게 융합 및 협업 능력이 중요하다. 융합 및 협업 능력 향상을 위해선 학과 간 장벽 해소 등 대학 교육의 유연성 확보가 필요하다. 무전공 선발로 대학 입학 때 전공 선택권이 보장된 신입생들이 학년이 올라가고 전공을 택한 후에는 학과 체제에 갇힐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대학 스스로의 필요에 따라 전공 선택권을 확대하고 융합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셋째, 학문의 균형발전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 학문의 균형발전은 기초학문 보호의 차원이 아니라 국가 경제의 지속 가능성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학생 개인의 입장에선 당장의 취업과 소득 창출에 유리한 전공을 택하는 것이 당연하다. 그러나 우리가 새로운 첨단 산업분야의 등장을 예측하지 못했던 것처럼 대학에 다양성이 보장돼야 새로운 환경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고, 나아가 국가 경쟁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학생의 전공 선택권 확대가 시대적 요청이란 시각에도 일리가 있지만, 제도 안착을 위해선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대학 혁신은 정부 정책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기 때문에 정부와 대학의 협력에 기반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이 필요하며, 대학 내에서도 충분한 논의를 통해 다양한 실험이 이뤄질 수 있어야 한다. 대학의 유연성과 자율성 확대는 어느 하나 포기할 수 없는 시대적 과제다.

#무전공 선발#제도#학령인구#감소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