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는 변하고 있다. 정부는 인공지능(AI) 시대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준비를 서둘러야 한다. 문과와 이과라는 이분법적인 구조하에서는 사회·과학 분야가 결합된 다양한 난제를 해결할 수 없다. 교육부는 급격한 기술 발전에 따라 변화하는 미래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대학입시제도를 개편하고 학문 간 벽을 허물고자 노력하고 있다. 문·이과 통합형 교육과정은 2018년부터 고교 현장에 이미 도입되었다. 문과와 이과의 구분은 더 이상 없다. 다양한 과목을 학습하는 것과 함께 융합형 학습을 충실히 이수했는지가 중요할 뿐이다.
현재처럼 입학과 동시에 학생 전공이 결정돼 졸업 학위까지 이어지는 단선 구조에서는 학생의 전공 선택권이 제약되고 AI 시대가 요구하는 통합적 사고력을 배양하기가 어렵다. 또한 학생이 취업한 이후에 직장 업무와 전공이 불일치하거나 전공지식이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는 등 직업과 전공 간 불일치로 인한 사회적 비용도 상당하다.
AI 시대 대학 교육의 패러다임은 교과·전공 중심이 아니라, 역량 중심으로 개편돼야 한다. 최근 교육부가 추진하는 전공자율선택제는 학생이 전공을 정하지 않고 입학한 후 대학의 체계적인 지원하에 진로를 탐색하고 자유롭게 전공을 선택하게 하는 제도다. 이를 통해 대학은 학생들에게 흥미와 적성에 맞는 교육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확대해주고, 학생들은 본인들의 전공과 진로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미래 사회에 필요한 융합적 역량을 학습하게 된다.
융합형 인재에게 필요한 주요 역량 중 하나는 수학적 사고력이다. 최근 교육부는 2028 대입 개편에서 심화수학을 수능 출제 범위에서 제외했다. 제한 시간 내에 선다형 문제를 풀이하는 수능은 AI 시대에 필요한 수학적 사고력을 길러주는 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미적분Ⅱ’와 ‘기하’가 모두 포함된 심화수학이 시행되는 경우 학생들에게 지나친 수학 학습 부담을 줄 수 있으며, 관련 사교육이 성행할 수 있다. 이는 결국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것이다.
이번 수능 개편으로 수학 심화학습이 위축되는 것은 전혀 아니다. 수능 출제 범위에서 심화수학이 제외된 것이지, 고등학교에서 미적분과 기하를 아예 가르치지 않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수능을 핵심 과목 중심으로 단순화함에 따라 고교에서 다양하고 깊이 있는 수학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함께 대학에서 학생부를 통해 전공 분야에 맞는 심화과목 이수 내용을 확인한다면 고교에서의 심화학습이 더욱 활성화될 유인도 충분하다. 올해 교육부는 AI 시대에 필요한 융합형 인재 양성의 기반을 마련하는 ‘제4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을 함께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부는 최근 발표한 정책들에 대한 현장의 우려를 겸허하게 듣고 있다. 충분한 논의를 통해 전공자율선택제가 대학이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유연하게 양성할 수 있는 기관으로 혁신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것이다. 동시에 AI·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고교 수업 활성화로 학생의 통합적 사고력 증진을 뒷받침할 것이다. 미래로 나아가려는 우리 아이들을 위해 적절한 교육개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기를 바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