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레이스테네스가 그리스 민주정의 기초를 놓았다면(1월 12일 칼럼 참조), 키루스(기원전 600년 경∼530년)는 페르시아 제국을 건설했다. 하지만 키루스는 ‘제국의 건설자’일 뿐만 아니라 ‘이상적 통치자’로서도 후대에 이름을 남겼다. 심지어 페르시아와 적대관계에 있던 그리스인들에게도 그랬다. 헤로도토스는 그의 삶을 제국의 역사와 함께 기록했고 크세노폰은 그의 일대기를 엮은 ‘키루스의 교육’을 썼으며 젊은 알렉산드로스는 이 책을 읽고 정복의 꿈을 키웠다.》
외조부 위협 피해 살아남아
키루스는 기원전 600년, 페르시아인의 나라 ‘안샨’에서 태어났다. 이 작은 왕국은 그 무렵 강대국 메디아에 예속되어 있었는데, 그의 아버지 캄비세스는 메디아의 공주와 혼인함으로써 부마국의 지위를 인정받았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키루스의 유년기는 순탄치 않았다. 외손자의 손에 메디아 왕국이 정복되는 것을 꿈에 본 외할아버지는 갓난아이를 데려와, 신하에게 살해를 명했다. 신하가 아이를 소치기에게 넘겨주어 살려두지 않았다면 페르시아의 역사는 완전히 달라졌을 것이다. 10년이 지나 진실이 밝혀진 뒤에야 외조부는 소치기 부부의 아들로 자란 손자를 받아들여 친부모에게 돌려보냈다.
왕위에 오른 키루스에게 메디아와의 대결은 피할 수 없는 운명이었다. 자유를 얻기 위한 전쟁이었기 때문이다. 키루스는 이 전쟁에서 승리한 뒤 외조부를 살려준다. 키루스의 승리는 정말 꿈같은 일이었지만, 나중에 그가 이룬 공적에 비하면 그것은 작은 시작에 불과했다. 메디아에 이어 주변의 강대국들이 하나둘 키루스에게 무릎을 꿇었다. 당대 최고의 강국 바빌론 정복과 관련된 일화는 ‘구약성서’에도 기록되었다. 키루스는 바빌론 왕 느부갓네살에 의해 포로로 끌려간 유대인들의 귀향을 허락했고 예루살렘 성전을 다시 짓게 했다. 그가 ‘구약성서’에서 야훼의 ‘목자’, ‘기름 부음 받은 자’라고 불린 것은 그 때문이다.
페르시아 제국 세워 포용 정치
키루스가 세운 페르시아 제국(아카이메니다이 제국)은 200년이 지난 뒤, 그의 성공을 부러워했던 알렉산드로스에 의해 멸망했다. 정복이 되풀이되었지만, 방향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바뀐 셈이다. 하지만 더 넓은 땅을 정복한 알렉산드로스도 한 가지 점에서는 키루스를 넘어설 수 없었다. 키루스는 제국의 건설자일 뿐만 아니라 통치자이기도 했지만, 알렉산드로스는 ‘말 위의 정복자’였을 뿐이다. 너무 일찍 죽은 탓에 그는 ‘말에서 내린 정치가’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으니까.
키루스는 새로운 제도들을 통해 광대한 제국을 관리했다. 각 정복지에 총독을 파견한 것, 피정복민의 문화를 존중하는 포용 정책 등이 그의 공로로 알려져 있다. 이런 통치 제도는 그가 세운 제국이 200년 이상 존속할 수 있는 기틀이 되었다고 역사가들은 평가한다. 하지만 아테네 출신의 장군이자 역사가 크세노폰에 따르면 키루스의 통치력은 그 수준을 훨씬 넘어선다. 그는 ‘성군 중의 성군’으로 묘사된다.
“여러 달이 걸리는 먼 곳까지 가서 적을 응징할 수 있는 사람이 이 페르시아 왕 말고 누가 있는가? 제국을 무너뜨리고 복속시킨 백성들로부터 죽을 때까지 ‘아버지’로 불린 사람이 키루스 말고 누가 있는가? 이 모든 일이 가능했던 것은 키루스라는 이름이 약탈자가 아니라 은인의 이름이었기 때문이다. … 그는 자신의 신민을 마치 자신의 자식처럼 귀하게 여기며 보살폈고, 신민들은 키루스를 아버지처럼 여기며 공경했다.”(‘키루스의 교육’·박문재 옮김)
믿기 어렵다. 적대국의 장군에게서 나올 수 있는 찬사일까? 하지만 근거 없는 허구는 아닐 것이다. 구약성서의 기록도 키루스의 행적을 찬양하고 그에게 정복당한 바빌론인들조차 그를 폭군의 압제를 끝낸 ‘구원자’라고 불렀다고 하니까. 이 모든 일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궁금해질 따름이다.
아버지에게서 받은 제왕 교육
크세노폰(기원전 430년∼기원전 355년)의 ‘키루스의 교육’은 그 대답을 찾는 책이다. 이 책의 첫 권은 아버지와 아들의 대화로 시작되는데, 인상적인 대목이 많다. 전장으로 함께 나가는 길에 아들이 아버지에게 묻는다. “아버지, 적을 능가할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요?” “아들아, 쉬운 문제가 아니다. 하지만 모든 점에서 적을 능가하려고 하는 사람은 사기꾼과 도둑과 강도처럼 아주 교활하고 영악하게 기만하고 속내를 숨기며 종잡을 수 없게 행동하는 데서 적을 능가해야 한다.” “맙소사, 아버지께서는 지금 제가 어떤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시는 것입니까?” “아들아, 너는 싸울 때는 그런 사람이어야 하지만, 평소에는 세상에서 가장 정의롭고 가장 법을 잘 지키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런 장면은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일화들과 중첩되어 흥미를 끈다. 그의 아버지 필리포스도 자식 교육에 신경을 많이 썼다. 당대의 최고 석학 아리스토텔레스를 가정교사로 초빙했을 정도이니까. 하지만 알렉산드로스의 교육에는 고급 사교육이 메울 수 없는 빈자리가 있었다. 필리포스와 알렉산드로스는 한 집안에 머물 수 없는 두 마리 호랑이였다. ‘정복할 땅을 아버지가 남겨두지 않으면 어쩌지?’ 명예심이 강한 아들에게는 이것이 걱정거리였다. 군사적 역량이 뛰어난 아버지는 아들에게 ‘전쟁의 신’ 같았지만 그 이상은 아니었다. 그는 여자관계가 복잡하고 술을 너무 마셨다. 젊은 후실의 아들이 왕위를 물려받을 거라는 소문이 나돌면서 아들과 아버지의 갈등이 폭발했다. 술자리에서 아버지를 모욕한 아들은 추방을 당했고, 그가 귀환하고 얼마 뒤 아버지는 암살당했다. 키루스와 캄비세스의 대화 같은 것은 상상할 수조차 없는 관계였다.
알렉산드로스의 이야기는 진실이지만, 키루스의 이야기는 ‘소설’이다. 크세노폰은 정복자의 이야기를 교육에 대한 이야기로 바꿔 놓았다. 하지만 소설에도 진실이 있다. 아주 질박한 진실. 제왕의 역량도 그 뿌리는 교육에 있다는 생각, 세대 간의 경험 공유가 모든 교육의 출발점이라는 생각이다. 제왕 교육만 그럴까? 교육에 왕도가 없다면, 시민 개개인이 ‘자기 삶의 제왕’이 되는 데 필요한 교육도 똑같지 않을까?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습득’을 교육의 전부처럼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새로운 기술들과 급속한 사회 변동이 초래하는 세대 간의 거리를 좁히는 것’ 또한 교육의 중요 과제라는 사실은 자주 무시된다. 20, 30대가 키오스크 앞에서 당황하는 노인을 이해 못 하고 60, 70대가 젊은 세대의 미래에 무관심한 사회라면, 거기서 어떤 개인의 역량 개발이, 어떤 공동체가, 미래를 위한 어떤 공동의 노력이 가능할까? ‘애플 제국’의 건설자 스티브 잡스에게도 평생의 신조는 아버지의 낡은 가르침이 아니었나? “훌륭한 목수는 아무도 보지 않는다고 장롱 뒤쪽에 저급한 나무를 쓰지 않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