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광장/최인아]自由, 스스로 말미암음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2월 16일 23시 45분


코멘트

자유는 자주 외로움을 동반한다
집단주의, 남 좇는 자들에게 자유 있을까
외롭다면 생각하자, 자유로워지는 중이라고

최인아 객원논설위원·최인아책방 대표
최인아 객원논설위원·최인아책방 대표
잘나가는 영화 배우가 있었다. 슈퍼 히어로 캐릭터를 연기해 톱스타로 등극하지만 그것도 한때, 어느 날인가부터 내려가는 길로 들어서고 한물간 배우 취급을 받는다. 그럼에도 끝내 정상의 자리를 잊지 못한 그는 영광을 되찾으려 발버둥친다. 2014년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 각본상, 촬영상을 휩쓸었던 영화 ‘버드맨(Birdman)’ 이야기다. 이전에도 몇몇 영화를 N차 관람한 적이 있지만 이 영화는 극장을 나오는 길로 바로 또 표를 사서 연거푸 두 번을 봤다. 그만큼 강렬했다.

영화 버드맨은 개봉한 지 10년이나 되었지만 지금도 세 가지를 선명하게 기억한다. 2시간가량의 영화가 마치 하나의 장면처럼 이어진 롱테이크 연출과 편집. 관객을 영화 내내 꼼짝없는 흥분 상태로 몰아넣던 강렬한 음악. 그리고 감독이 던진 메시지. 감독의 뜻을 제대로 헤아린 것인지는 알 수 없지만 영화를 감동적으로 본 관객으로서 나는 이 대단한 영화에서 ‘자유’를 읽었다.

주인공 마이클 키턴(리건 톰슨 역)은 다시 정상의 자리로 올라가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하지만 잘되지 않는다. 여러 사건이 터지고 갈등이 극에 달했을 때 그는 자신의 얼굴에 실탄이 든 총을 쏴버리기까지 한다. 다행히 목숨을 잃지 않은 그가 얼굴에 붕대를 감은 채 병실에서 깨어나는데 이때 카메라가 잡은 그의 얼굴 표정이 아주 복잡미묘하다. 아주 중요한 것을 깨달은 자의 얼굴이랄까. 누가 뭐래도 자신은 배우라는 자각에 다다른 이의 얼굴이었다. 인기가 있든 없든, 찾는 이가 많든 적든, 톱스타든 아니든 자신은 여전히 영화와 연기를 사랑하는 배우라는 것. 바로 이 대목에서 내 머릿속엔 자유라는 두 글자가 떠올랐다. 자유(自由). 스스로 자, 말미암을 유. 그러니까 자유란, 무엇을 하든 하지 않든, 먼저 하든 나중에 하든 스스로 말미암는 것이 본래 의미다. 영화 속 주인공도 세상의 평가와 무관하게 자신이 배우라는 자각에 이르자 마침내 자유를 얻고, 이전에 연기했던 버드맨이 되어 병실 창밖 하늘로 날아오른다. 아주 자유롭게.

모두들 자유롭게 살고 싶어 한다. 하지만 우리가 누리는 모든 것엔 수고가 따른다고 믿는 내 눈엔 자유롭기 위해 감당해야 할 것이 먼저 보인다. 최근엔 경제적 자유에 관심이 크지만, 자유로이 사는 데 필요한 게 돈만은 아니다. 자유는 자주 외로움을 동반한다. 집단에 속해 남들 하는 대로 대오를 따라가면 외로울 일이 별로 없다. 외로움은 다수가 가는 길이 아닌 ‘마이 웨이’를 갈 때 찾아오고 커진다. 뜻을 같이할 사람이 적고 혼자가 될 때 덜컥 외로워지고 갈등에 빠진다.

물론, 사람들이 처음부터 마이 웨이를 시도하지 않는 건 아니다. 다들 자기답게 살고자 한다. 그러나 자신의 선택이 소수의 길임을 마주하면 슬슬 불안하고 외로워진다. 그러다 적지 않은 이들이 좁은 길을 나와 다수의 길로 들어서고 남의 길을 따라가는 자가 된다. 정의니 대의니 이런 게 아니라도 말이다. 아마도 마음은 편해질 것이나 자신이 품은 뜻대로, 자기답게 사는 자유는 줄어들 것이다. 그러니 어쩌면 자유란, 소수(minority)가 되는 것을 무릅쓰고 자신의 길을 갈 때 주어지는 선물인지도 모르겠다. 자유롭고자 하는 이는 세상과 불화할 가능성이 크니 자유를 원한다면 외로움을 선물처럼 여겨야 하는 거구나, 생각한다.

개인의 시대를 넘어 ‘핵개인의 시대’가 언급될 만큼 우리 사회는 집단주의 문화에서 많이 걸어 나왔다. 그럼에도 우리는 여전히 ‘배달의 민족’일 뿐 아니라 ‘바람의 민족’이기도 해서 바람이 불면 죄다 그쪽으로 쏠리고 바람의 방향이 바뀌면 언제 그랬냐는 듯 또 새 방향을 좇는다. 이런 데 자유가 있을까?

얼마 전 출간된 공지영 작가의 ‘너는 다시 외로워질 것이다’를 인상적으로 읽었다. 무리에 속하지 않고 자신의 길을 가겠다는 작가의 생각에 많이 공감했다. 그리고 광고쟁이 시절 서른 초반에 썼던 카피를 떠올렸다.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자유 아무것도 안 할 자유.” 젊었던 나는 그때 이 문장을 쓰면서, 뜻에 맞지 않는 것을 하지 않을 자유, 수긍하지 않는 것에 머리 숙이지 않을 자유, 원치 않을 때 웃지 않을 수 있는 자유를 생각했던 것 같다. 돌아보니 (항상 그렇진 못했지만) 품은 뜻에 따라 사느라 더러 외로웠지만 자유는 외로움에 지지 않을 때 얻어진다는 체험 또한 했다. 그러니 당신이 지금 외롭다면 이렇게 생각해 보면 어떨까. ‘내가 자유로워지는 중이구나’라고. 맞다. 당신도 자유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다.

#자유#집단주의#핵개인의 시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