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다시 3%대 진입… 물가 전쟁 끝나지 않았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3월 6일 23시 54분


코멘트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1%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새해 첫 달 2%대로 둔화됐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시 3%대에 진입한 것이다. 과일·채소값 폭등이 계속된 데다 국제유가 불안까지 겹친 영향이 크다. 끈적하게 이어지는 고물가가 서민 부담을 가중시키고 민간 소비와 투자를 위축시켜 경기 반등의 불씨마저 꺼뜨릴까 우려스럽다.

장바구니에 과일, 채소 하나 담기가 겁나는 상황이어서 가계의 체감 물가는 훨씬 더 가파르다. 지난해 8월부터 두 자릿수 상승세를 이어가던 과일 가격은 지난달 41.2% 급등했다. 32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이상 기후로 생산량이 급감한 탓에 사과와 귤은 70% 넘게 치솟았고 배, 감 등도 50% 안팎으로 올랐다. 채소값도 12.3% 뛰었다. 국제유가가 들썩이면서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은 5주 연속 상승세다.

문제는 이 같은 물가 불안 요인에 대응할 만한 카드가 마땅치 않아 고물가가 상당 기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가 농축수산물 할인을 지원하고 과일 직수입을 늘리겠다고 했지만, 이상 기후로 재배 면적이 줄고 있는 데다 사과 배 등은 병해충 유입 우려로 수입이 안 돼 체감 물가 하락으로 이어질지 미지수다. 최근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주요 산유국 협의체(OPEC+)의 감산 연장으로 국제유가가 연내 100달러까지 오를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게다가 4월 총선을 의식해 유류세 인하 연장과 전기·가스요금 억제 등을 통해 미뤄둔 물가 인상 요인들이 잠재돼 있어 추후 인플레이션 압박은 더 커질 수 있다. 총선 이후 물가가 더 걱정이라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총선을 겨냥한 여야의 무분별한 돈 풀기 경쟁은 물가를 한층 더 자극하고 서민 부담을 키우는 악순환을 가져올 우려가 크다.

여전한 물가 부담에 한국을 포함한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시점은 점점 뒤로 밀리고 있다. 아직 고물가·고금리·고유가 위기의 터널을 빠져나온 게 아니라는 뜻이다. 당분간 재정·통화정책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두고 운영돼야 할 것이다. 정치권도 눈앞의 인기에 급급해 돈 풀기 처방에 매달려선 안 된다.
#물가 전쟁#과일·채소값 폭등#국제유가 불안#고물가#서민 부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