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의 호재는 언제, 어디에나 존재했다. 유형 혹은 무형으로, 과거나 현재나, 그리고 국토를, 해양을, 도시를, 인적자원과 문화까지도 ‘개발’했다. 개발이라는 외연을 띠고 미지의 영역에 발을 들여놓으려는 인류의 끈질긴 노력처럼 우리는 이제 우주로 향하고자 한다.
정부가 올 한 해 우주개발 5대 임무(우주탐사, 우주수송, 우주산업, 우주안보, 우주과학)에 1조 원 가까이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2032년에 달에 착륙하고, 국제우주정거장에 태양코로나그래프를 설치한다는 목표도 설정했다. 바로 이 중심에 경남 사천에 들어설 우주항공청이 있다.
우주항공청 설립은 크게 두 가지 의미가 있다. 뉴 스페이스 시대 세계 시장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우주산업 생태계 성장을 통한 국가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또 흩어져 있던 기관과 연구를 통합해 일관된 우주항공 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할 국가의 컨트롤타워가 된다는 점이다.
1월 국회는 ‘우주항공청 설치 및 운영에 관한 특별법’을 통과시켰다. 국회에 제출된 지 9개월 만이었다. 도민들은 우주항공청 설치 특별법의 통과를 촉구하며 서울과 경남 곳곳에서 궐기했다. 필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메릴랜드주와 협력체계를 구축했고, 하루가 멀다 하고 국회를 방문해 여야 국회의원들을 설득했다. 과거 동료였던 의원들이 경남도가 왜 이렇게까지 하느냐며 이제 그만 오라고까지 했다. 그 이유에 대해 두 가지로 설명했다. 유치하고자 했던 것은 단순한 국가 기관이 아니라 대한민국 우주경제 비전 그 자체였고, 경남도의 미래를 이끌 신성장 동력이었기 때문이다.
이제 5월이면 사천에 우주항공청이 개청한다. 대한민국이 우주개발의 신호탄을 쏘아 올리게 되는 만큼 세계 각국이 경남을 주목할 것이다. 세계의 관심을 훗날 찬사로 바꾸는 일에 경남도의 책임도 크다. 지난해 NASA를 방문했을 당시 관계자는 미국 정부 기관 중 청년들이 가장 일하고 싶어 하는 기관으로 NASA가 십수 년째 1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자신있게 말했다. 그 이유에 대해선 정주 여건과 관련 기관 및 산업의 집적화를 제시했다.
경남은 역시 우선적으로 정주 여건 마련에 적극적으로 나설 계획이다. 제22대 국회가 개원하면 지난 국회에 제출했던 ‘우주항공복합도시 건설지원 특별법’이 이번에는 통과될 수 있도록 다시 노력할 것이다.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우주 관련 산업이 보다 집적화될 수 있도록 입주 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을 위한 투자진흥지구 지정 등 제도 마련에도 나설 것이다.
우주항공청의 ‘연구개발’도 중요하다. 우주강국들이 우주정책 수립 이후 20년 이상 꾸준히 우주개발에 예산을 편성해왔다는 점을 볼 때 정부의 투자 확대는 필수조건이다.
모건스탠리는 세계 우주산업의 규모가 2040년 1조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의 목표는 현재 1% 정도에 불과한 세계 우주산업 점유율을 2045년까지 10%로 끌어올리는 것이다.
경남에서 나고 자란 아이들이 우주를 꿈꾸고, 또 세계의 무수한 인재들이 우리 경남을 꿈꿀 수 있도록 희망의 다리를 차근히 준비하겠다. 그 담대한 첫걸음에 경남도가 앞장서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