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신임 원내대표가 “아무리 비싼 집이라도 1주택이고, 실제 거주한다면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에서 빠져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자기 집에 사는 1주택자에 한해 종부세를 면제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박 원내대표의 구상이 현실화할 경우 지난 정부에서 집값과 세율이 오르며 급증한 종부세 부담이 상당 부분 줄어들게 된다.
1주택자이면서 종부세를 내는 사람의 수는 2017년 3만6000명에서 2022년 23만5000명으로 5년 만에 6.5배로 증가했다. 그 사이 집값이 폭등한 데다, 정부가 공시가격 현실화율까지 빠르게 끌어올렸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1주택자가 낸 종부세액도 17배인 2562억 원으로 폭증했다. 윤석열 정부 들어 1주택자 기본공제액을 11억 원에서 12억 원으로 높이고, 공시가격 현실화율 상승도 억제해 작년에는 1주택 종부세 대상자가 11만1000명으로 감소했다. 그래도 여전히 종부세를 내는 4명 중 1명 정도가 1주택자다.
집 한 채가 재산의 전부인 이들에게 ‘부유세’인 종부세를 부과하는 데 대한 반발은 2005년 제도 도입 때부터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특히 살고 있는 집 한 채 값이 올랐다고 소득이 없는 은퇴자에게 매년 세금을 물리는 건 과도하다는 지적이 많다. 종부세를 내려고 대출을 받는다는 말이 은퇴자들 사이에서 나온다.
다만 실거주 1주택자에게 집값에 관계없이 종부세를 면제해줄 경우 형평성 논란도 예상된다. 서울 강남에 수십억 원짜리 아파트 한 채를 가진 사람이 안 내는 세금을 비수도권에 2억∼3억 원짜리 빌라, 단독주택 서너 채 가진 사람은 내야 하느냐는 식의 불만이 나올 가능성이 크다. 이른바 ‘똘똘한 한 채’에 대한 쏠림이 심해져 지방 부동산 경기가 더 악화할 것이란 우려도 있다.
종부세 개편을 검토한다면 이런 문제들까지 고려해 다주택자에 대한 세율 등을 종합적으로 손봐야 한다. ‘부자 감세’를 비판해 온 민주당 안에선 박 원내대표 발언을 놓고 “개인적 견해”라며 경계하는 반응이 나온다고 한다. 그러나 주택에 부과된 징벌적 세금 폭탄 때문에 부담을 느끼는 이들이 적지 않다. 국민의 부담 능력을 고려해 세제를 조속히 정상화할 필요가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