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0년 6월 17일부터 38선의 이북 지역이 부산해지기 시작했다. 원래 북한은 38선에 경비대와 보안대 병력만을 배치하고 있었는데, 주로 함경도와 평안도에 주둔하고 있던 8개 사단이 속속 투입되기 시작한 것이다. 8개 사단의 이동 배치는 21일까지 마무리되었다. 작전 명령과 침공 개시 시간은 이미 장교들에게 하달되어 있었다.
침묵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비밀은 유지할 수 없었다. 몇 명의 북한군이 부대가 38선에 배치된 틈을 타서 탈영해서 침공 정보를 알려주었다. 24일에 육군 정보부는 북한의 전면 남침이 분명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채병덕 참모총장에게 보고했다. 동시에 24일에 내린 비상대기 해지와 전군 외출, 외박령 취소를 건의했다.
채 총장은 이를 거부하고 특수팀을 파견해 적정을 고찰하고 25일 오전 8시까지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북한의 남침 경고는 이전부터 발령되고 있었다. 3월 위기설, 5월 위기설. 덕분에 전군에 비상대기가 계속 발령되어 병사들이 한계 상황이었다. 채 총장은 이것이 부담스러웠다고 한다.
채 총장의 고민도 이해는 간다. 그러나 본질적인 문제가 있었다. 3월, 5월에 북한군 주력은 38선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북한군의 이동 같은 침공 징후를 탐지할 체계를 세우는 것이 우선이었다. 당시에는 그리 어렵지도 않았다.
당시 한국군은 전면전을 대비한 방어 시스템이 전혀 갖추어져 있지 않았다. 미국은 지원을 거부했고, 정부는 돈이 없고, 국회는 정치놀음이 우선이었다. 이런 상태에서 소문만 듣고, 병사들만 괴롭혔다. 외출, 외박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었는데, 병사들만 전시 상태처럼 몰아붙였다. 전형적인 보여주기식 대응이었다.
정작 육군본부의 인사, 기타 정책은 전쟁 준비와는 반대로 움직였다. 4월에 전군 사단장을 한꺼번에 교체했다. 고민과 행동에 일관성이 없고 항상 정치 논리가 작용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기를 바란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