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혈 보상 늘려 혈액 부족 대비해야[내 생각은/전원균]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20일 22시 48분


코멘트

14일은 ‘세계 헌혈자의 날’이었다. 저출생·고령화로 혈액 부족이 불가피하다. 혈액은 아직 인공적으로 만들 수 없고 대체 물질도 없다. 장기간 보관도 불가능하다.

스웨덴 연구진이 31년간 스웨덴에서 헌혈한 96만여 명을 추적한 결과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을 발견하지 못했다. 오히려 미국 국립암연구소 저널에 따르면 4년 반 동안 1년에 두 번 헌혈한 그룹은 비헌혈자 대비 암에 걸릴 위험이 낮았다. 헌혈을 봉사활동으로 인정하던 제도가 사라지면서 10대 헌혈이 크게 줄었다. 헌혈자 보상 강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연령 제한 및 금지 기준도 재검토가 필요하다.

※ 동아일보는 독자투고를 받고 있습니다. 각 분야 현안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이름, 소속, 주소, 휴대전화 번호 등 연락처와 함께 e메일(opinion@donga.com)이나 팩스(02-2020-1299)로 보내주십시오. 원고가 채택되신 분께는 소정의 원고료를 지급합니다.



전원균 전 대한적십자사 서부적십자혈액원장·시인
#헌혈#보상#혈액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