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관리 대상서 빠지고, 이틀 전 화재는 쉬쉬… 예고된 참사였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6월 26일 23시 27분


코멘트
24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소재 일차전지 제조업체 공장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들이 수색견을 이용해 실종자를 찾고 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24일 경기도 화성시 서신면 소재 일차전지 제조업체 공장 화재 현장에서 소방관들이 수색견을 이용해 실종자를 찾고 있다. 송은석 기자 silverstone@donga.com

근로자 23명이 목숨을 잃은 24일 경기 화성시 아리셀 배터리공장 화재 참사는 제도의 공백과 공장의 안전 무대책이 맞물려 빚어낸 인재(人災)였음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이번 참사처럼 화학반응열이 원인인 화재가 해마다 수백 건씩 발생하지만 이 공장은 소방당국의 ‘화재안전 중점관리 대상’에서 빠져 있었다. 공장 연면적이 기준(3만 ㎡) 이하라는 이유다. 이처럼 당국의 관리 사각에 놓인 일차전지 공장이 등록된 32곳 중 27곳(84%)에 이른다고 한다. 불이 난 아리셀 공장 작업장도 불량 배터리 발화 위험이 상존하는 데도 제대로 된 비상구가 없는 채 방치됐다.

배터리 관련 시설에 맞는 안전 관리 기준도 없다. 미국은 공장 등 리튬 배터리 시설의 화재 위험이 커지자 화재 예방과 진압에 대한 상세 지침과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놨다. 이에 따르면 관련 시설은 배터리의 열 폭주로 인한 2차 폭발을 막는 장치나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하지만 우린 배터리공장이 화성시에만 18개가 있는데, 업체뿐 아니라 소방당국도 전용 진화 장비가 없는 실정이다. 90분을 버티는 방화벽이 국제 표준이라는데 아리셀 공장은 화재에 극히 취약한 샌드위치 패널로 지어졌다.

회사 측은 안전 대책에 소홀했다. 이번 사고 이틀 전에도 불량 배터리에서 불이 났지만 작업자가 진화한 뒤 생산을 재개했고, 소방당국엔 신고도 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때라도 화재 대비 실태를 면밀히 점검했더라면 이런 참사를 막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현장엔 화재 시 연쇄 폭발하는 배터리가 무더기로 적치돼 있을 정도였다. 회사는 정기 안전교육을 하고 비상 대피 매뉴얼을 비치했다지만 일용직 근로자에게 교육이 제대로 이뤄졌을지는 의문이다.

이번 참사도 앞선 대형 화재와 닮은꼴이다. 2020년 이천 물류창고 화재는 불길이 샌드위치 패널을 타고 확산하며 피해를 키웠고, 2022년 대전 프리미엄아울렛 화재에선 스프링클러가 작동하지 않았다. 2022년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도 리튬이온 배터리의 열 폭주 탓에 진압에 8시간이나 걸렸는데, 여전히 실내에서 다량의 배터리에 불이 붙는 사태에 속수무책이다. 화재에 취약하고 진화 설비도 제대로 안 갖춰진 작업장에서 화마가 근로자를 삼키는 비극이 되풀이되고 있다.


#경기 화성#아리셀 배터리공장#화재#예고된 참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