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최전방 군부대에서 10년 만기 제대를 앞두고 있는 규남(이제훈)은 탈북을 꿈꾼다. 부모님은 모두 돌아가셨고, 제대 후에도 그의 출신성분으로 할 수 있는 일은 ‘하급 노동’뿐이다. 이미 미래가 결정되어 그 어떤 선택들도 가능하지 않은 삶. 규남이 철책을 넘어 지뢰지대를 뚫고 남으로 가려는 이유다. 하지만 규남의 탈북을 어떻게든 막으려는 현상(구교환) 역시 그 상황이 그리 달라 보이지 않는다. 귀족에 해당하는 출신성분으로 러시아 유학까지 다녀와 보위부 소좌로 권력을 누리고 있지만, 그 역시 피아노에 대한 꿈을 접었다. 무엇 하나 선택할 수 없고 정해진 운명대로 살아갈 수밖에 없는 삶. 이종필 감독의 ‘탈주’는 그 감옥 같은 삶으로부터 탈주하려는 청춘들의 사투와 고뇌를 그린 작품이다.
왜 갑자기 북한 청년들의 이야기인가 싶지만, 규남이 남으로 가고픈 욕망을 드러내는 모티브로, 남측으로부터 라디오로 들려오는 자이언티의 ‘양화대교’가 흐를 때 이 영화가 진짜 하려는 이야기는 따로 있다는 걸 알게 된다. 택시운전사 아버지의 삶을 나이 들어 양화대교를 건너며 이해하게 되는 화자의 이야기를 담은 이 노래는 부모의 삶이 다음 세대로 유전되는 우리네 현실을 표현한 곡이다. 즉 우리의 상황도 북한처럼 극단화되진 않았지만 그 공고한 시스템에 청춘들을 가둬놓은 건 마찬가지라는 현실 인식이 이 작품에는 담겨 있다.
“마음껏 선택하고 실패하는 삶을 살겠다”고 말하는 규남의 절실함을 마주한 후 현상은 그를 보내준다. 그러면서 “가라, 가서 마음껏 실패하라”고 말한다. 우리는 청춘들에게 마음껏 선택하고 실패할 수 있는 기회를 허용하는 사회일까. 곱씹어봐야 할 대목이다. 어쩌면 우리 사회에도 규남 같은 탈주하려는 청춘들이 적지 않을 테니 말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