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 중매를 찾는 이유[벗드갈 한국 블로그]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7월 23일 23시 00분


코멘트
일러스트레이션 윤상선 기자 yoonss@donga.com
일러스트레이션 윤상선 기자 yoonss@donga.com

얼마 전 필자는 남편으로부터 30대 후반에 결혼하지 않은 지인 이야기를 들었다. 그 남자분은 결혼하고 싶은 마음에 결혼정보업체에 등록해 최근 세 번 정도 ‘선’을 보러 나갔는데 다 실패했다고 한다. 그 과정이 모두 다 외국인인 필자가 듣기에는 신기한 것이었다.

벗드갈 몽골 출신·글로벌 비에이 유학원 대표
벗드갈 몽골 출신·글로벌 비에이 유학원 대표
남편의 말에 따르면 첫 번째 여성분은 30대 중반이었다. 선을 보는 그 자리에서 다짜고짜 “결혼 날짜를 언제로 정할까요?” 하고 물었다고 한다. 매우 부담스러웠기에 다음 데이트 약속을 정하지 않고 끝을 냈다고 한다. 두 번째로 만난 여성분이 마음에 들어 세 번 정도 더 데이트했는데, 상대방이 세 번째 만남에서 이런 이야기를 했다고 한다. “사실 과거 연인과 2년간 동거하고 부부로 지냈다”고. 혼인신고는 안 했다지만 솔직하게 말해줘서 고맙다고 해야 할지, 다른 남자와 할 거 다 해봤다고 화를 내야 할지 마음이 갈팡질팡했다고 한다. 결국엔 그 여성분과도 헤어졌다.

마지막 여성분은 매우 마음에 들어 여덟 차례 정도 데이트를 함께 즐겼다고 한다. 하지만 남편의 지인에게 모든 데이트 비용을 부담하게 했고, 여덟 번째 데이트에서조차 식사 후 커피까지 사달라고 했다. “다음번에는 꼭 사드리겠다. 오늘은 지갑을 두고 왔다”는 말과 함께. 그것으로 남편 지인은 그 여성과 더 만나고 싶은 마음이 사라졌다. 이렇게 세 번의 선은 아무런 성과 없이 마무리됐다. 그 남자분이 지독히도 운이 없었던 걸까?

사실 선과 중매로 인생의 배우자를 만날 가능성이 얼마나 높을지 잘 모르겠다. 남편 지인의 에피소드를 들으며 필자는 한국의 중매, 선 문화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았다. 어렸을 때 재미있게 본 ‘내 이름은 김삼순’이라는 드라마에서 처음 선보는 모습을 접했다. 다 큰 남녀가 서로에 대해서 전혀 모르는 상태로 커피를 마시고 서로에 대해서 견적 보듯이 정보를 캐는 장면은 무척 신기하면서도 이상했다. 선을 볼 때 ‘학벌, 학연, 출신, 직업’ 등이 중요하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그 당시엔 이해하기 어려웠는데 이제는 왜 그런 게 중요한지 안다.

한국에서는 이런 소개 문화가 널리 퍼져 있다. 연세가 지긋한 어르신들은 미혼인 젊은 사람을 보면 꼭 “누구 만나 볼래?” 하고 묻는다. 젊은 사람들에게 이것저것 정보를 캐내어 이어줄 사람을 찾으려 애쓰시는 것도 여러 번 목격했다. ‘한국 사람들은 짝지어 주는 것을 매우 좋아하는구나’ 하고 생각했다. 이런 사회 분위기 때문에 소개팅이나 선 같은 문화도 자연스러운 것 같다. 오죽하면 그런 걸 다루는 짝짓기 예능 프로그램까지 인기일 정도다.

과연 이런 문화는 언제부터 시작됐을까. 한 드라마에 따르면 과거 조선 시대에는 서른 살이 넘도록 결혼하지 않으면 잡혀갈 수도 있었다고 한다. 즉, 범죄자가 되었다는 이야기다. 이 드라마의 내용이 사실인지 알아보다가 추가로 더 재미있는 내용도 찾았다. 그땐 노총각과 노처녀가 국가 차원에서 구제해야 할 불쌍한 사람들로 여겨져 나라에서 혼례비용을 보조하거나 콩을 혼수 삼아 결혼을 장려했다는 이야기였다.

이런 전통이 현대까지 이어지고 있는 걸까. 결혼중개업체, 중개 사이트는 물론 중개 프로그램까지 성행한다. 과거보다 훨씬 스마트하고 발전한 시대에 사는 만큼 서로의 조건을 맞춰 짝을 소개해 준다.

그러나 모든 중매가 성공적인 것은 아니다. 온 사회가 나서 중매를 서주는 경우가 있으니 바로 국제결혼이다. 국제결혼 중매의 결과는 썩 좋지 못하다. 국제결혼을 통해서 결혼한 이들의 대부분이 불행 속에서 살고 있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언어와 문화를 전혀 모른 채 한국 땅에 온 외국인 여성은 한국의 가난한 노총각에게 시집가서 아이를 낳는다. 아이는 한국 아이로 길러져서 엄마는 아이와도 제대로 소통할 수 없고 아빠와는 서먹서먹한 사이로 산다. 감히 남의 삶이 다 이렇다고 평가하긴 그렇지만, 주변에 다문화 지인들과 가족이 많아서 국제결혼을 통해 이뤄진 다문화가족의 이야기를 많이 듣고 있다.

그럼에도 남편의 지인은 중매로 배우자를 찾으려 했다. 그러고 보면 이런 생각도 든다. 중매결혼의 여러 단점을 알면서도 또 중매를 찾을 수밖에 없는 건 그만큼 결혼하기 힘들기 때문이 아닐까 하고 말이다. 물론 중매 결혼으로 좋은 배우자를 찾고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분도 많을 테니 오해는 말았으면 좋겠다. 그저 혼인 건수가 늘고 출산 건수도 늘어서 한국의 저출산이 조금은 해소되길 바라는 마음뿐이다.
#한국인#중매#결혼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