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금메달 몇 개가 목표”… 그렇게 운동하는 시대는 갔다[광화문에서/황규인]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7월 26일 23시 15분


황규인 스포츠부 차장
황규인 스포츠부 차장

올림픽 메달은 하나하나가 소중하다. 금메달이라면 더욱 그렇다. 올림픽 금메달을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마다할 선수는 전 세계 어디에도 없다. 역대 최고 테니스 선수로 손꼽히는 노바크 조코비치(37·세르비아)조차 “내겐 아직 올림픽 금메달 꿈이 남아 있다”며 파리 올림픽에 출전했다. 조코비치는 메이저 대회 단식 최다(24회) 우승 기록 보유자지만 이전 네 차례 올림픽에서 금메달은 하나도 따지 못했다.

다만 어떤 과정을 거쳐 올림픽 금메달을 목표로 삼게 됐는지는 다른 문제다. 성인 주말 골퍼 가운데 ‘올림픽 금메달을 따려고 운동한다’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부모님을 따라 필드에 나온 10대 청소년 중 어쩌다 한두 명 있을까. 그런데도 전국에 8100개가 넘는 골프 연습장이 성업 중이다. 어떤 운동이든 일단 재미를 붙이고 나면 더 잘 놀려고(play better) 더 열심히 노력하고(work harder) 싶은 마음이 드는 게 인간 본능이기 때문이다.

재미를 붙인 사람은 ‘운동의 주체’가 된다. 운동의 주체가 되면 ‘하지 말라’고 해도 훈련을 반복한다. 그 부장님 오른손이 틈만 나면 왼쪽 엄지를 감싸 쥐는 데는 다 이유가 있는 것이다. 생전 안 읽던 책까지 산다. 이사님 책상 서랍에서 ‘싱글로 가는 길’이 나왔다고 놀라면 그게 더 이상한 일이다.

스스로를 ‘엘리트’라고 칭하는 한국 체육인들은 정반대였다. 훈련은 기본적으로 ‘국위를 선양하기 위해’ 지도자, 그러니까 남이 시켜서 하는 일이었다. 이렇게 후진국에서 ‘운동의 객체’로 자란 이들이 대부분인 세대가 선진국에서 태어난 요즘 아이들을 가르친다. 그러니 “국제 경쟁력을 키우려면 훈련량을 늘려야 한다. 그런데 감독조차 훈련을 강요할 수 없는 게 현실”이라며 한숨짓기 바쁘다. 단체 구기 종목의 한 감독은 “일본 선수들은 기본기와 테크닉을 익힌 다음 성인 무대로 올라온다. 우리는 어렸을 때부터 훈련량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 경기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한탄했다. 이런 한탄은 흔히 “운동부 애들 수업 좀 빼주세요”로 이어진다.

그러면서도 공부와 운동을 병행하는 일본 선수들이 그 정도 기본기를 어떻게 익혔는지 들여다보는 지도자는 별로 없다. 간단하다. 그 골프광 부장님처럼 재미를 붙였기에 익히게 된 거다. 그리고 재미를 계속 유지한 선수만 성인 무대까지 올라온 거다. 일본에서 나온 학생용 교재를 보면 반복 훈련을 한 번이라도 ‘덜’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연구 결과가 자주 나온다. 그래도 누군가는 반복하고 반복하고 또 반복한다. 운동하는 재미란 원래 그런 것이다.

올림픽에 나갈 수 있을 만큼 노력한 선수에게 “금메달은 됐으니 즐기고 오면 된다”고 하는 건 위선이다. 금메달을 딴 선수가 4등 선수보다 올림픽을 더 즐기지 못할 이유 역시 그 어디에도 없다. 다만 결과에 관계없이 “올림픽을 즐겼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선수 본인, 그러니까 운동의 주체뿐이다. 한국도 머리 희끗한 어르신들이 마이크 잡고 “이번 올림픽은 금메달 몇 개가 목표”라고 떠들 때는 이제 지나도 한참 지나지 않았나.

#올림픽#파리 올림픽#올림픽 메달#운동의 주체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