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나가노 겨울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의 스키점프 선수들은 단체전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이 실제 사실은 당연히 주목되지 못했다. 당시로서는 스키점프 같은 종목 자체가 이른바 ‘비인기종목’이었고, 결과 역시 최하위 기록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주목되지 못했던 사실을 모티브로 해 제작된 김용화 감독의 ‘국가대표’는 무려 800만 관객을 동원하며 큰 관심을 받았다. 드라마틱한 허구의 재미를 더했지만, 영화 속에 등장하는 올림픽 결과는 실제 사실과 다르지 않았다. 역시 최하위 성적을 기록하는 걸로 끝을 맺은 것. 어째서 실제와 영화에 대한 대중들의 반응은 이토록 달랐을까. 그건 물론 영화적 내러티브의 힘이 더해졌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 결과만이 아닌 선수들이 노력해 온 과정들을 영화가 기꺼이 따라가 줬기 때문이다.
급조된 오합지졸 스키점프 대표팀에 합류한 밥(하정우)은 전 주니어 알파인 스키 미국 국가대표였다가 친엄마를 찾아 한국에 온 인물이다. 그는 자신을 버린 나라의 국가대표가 되어 달라는 말에 황당해하지만 유명해져서 엄마가 자신을 찾고 싶게 하라는 감독의 말에 설득된다. 결국 메달을 따지는 못했지만 밥은 공항의 환영 인파 속에서 한 기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저만치 서 있는 엄마에게 진심을 전하게 된다. “근데 아파트를 못 구했네? 우리 엄마한테 내가 집 사 가지고 가야 되거든요. 그러니까 엄마! 조금만 기다려. 무조건 기다리고 있어. 내가 올림픽 나가서 메달 따 가지고 내가 아파트 사 가지고 갈 테니까 무조건 기다리고 있어.” 26일 제33회 파리 올림픽이 개막됐다. 최고가 되진 못했지만 최선을 다하는 모습들을 통해 사랑받았던 영화 ‘국가대표’처럼, 결과만이 아닌 선수들이 노력해 온 과정들에 아낌없는 박수가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