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남성 2명 중 1명이 비만… 이제 국가가 나서야[이진한의 메디컬리포트]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9월 12일 23시 06분


코멘트
9일 국회에서 비만기본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가 열려 비만의 심각성을 알리고 급증하는 소아청소년 비만 대책이 논의됐다.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제공
2년 전 일이다. 국내 당뇨병 환자가 600만 명을 돌파하고 전당뇨병 환자만 1500만 명에 이르자 대한당뇨병학회는 ‘당뇨 대란’이란 전투적 용어를 쓰며 심각성을 강조했다.

이진한 의학전문기자
이진한 의학전문기자
그런데 그보다 비율이 더 높은, 성인 남성 2명 중 1명꼴로 생기는 질환도 있다. 이 질환은 2형당뇨병과 심장병, 수면무호흡증, 고혈압, 고지혈증, 담낭질환, 우울증, 통풍, 암, 지방간, 골관절염, 뇌중풍(뇌졸중) 등 온갖 2차 질환의 원인이 된다. 그럼에도 많은 이들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는 이 질환은 바로 ‘비만’이다.

기자도 한때 체질량지수(BMI) 25를 넘는 비만이었고 혈액 검사에서 고지혈증과 당뇨병 징후가 보여 몸무게를 줄이기 위한 건강 관리에 신경을 쓰고 있다. 식사 조절과 근력 운동, 유산소 운동 등을 통해 BMI를 23, 24 정도로 낮췄는데 그러자 각종 수치들이 다시 정상으로 돌아오고 있다.

이달 9일 국회에선 비만기본법 제정을 위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선 비만을 질병으로 판단하고 개인의 노력에만 맡겨두는 대신 정부가 나서서 해결해야 한다는 논의가 진행됐다.

비만은 흔히 과식이나 운동 부족 등 개인의 태만으로 발생한다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 보니 개인이 해결해야 할 문제로 치부되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비만은 병태생리학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만성질환 중 하나다. 비만이 유지될 경우 당뇨병 위험이 243% 증가하는 것을 비롯해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관상동맥질환 등 합병증 위험도 늘어난다.

사회적 비용도 막대하다. 비만에 따른 국내 사회경제적 손실은 2021년 기준으로 약 16조 원에 달해 다른 건강 위험 요인인 음주, 흡연보다 많았다. 대한비만학회에 따르면 제주와 강원에서 성인 비만 유병률이 특히 높았고, 소아청소년의 경우 강원과 충북에서 높았다고 한다. 또 세계비만연맹에 따르면 비만과 과체중에 따른 경제적 영향이 계속 증가해 2060년 관련 비용이 560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데 지금까지 비만 치료는 몸매 관리를 위한 미용적 측면에서 간주될 때가 많았다. 비만 클리닉에 다니는 걸 두고 흔히 피부 미용 관리를 받는다고 생각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더구나 비만 치료에는 건강보험도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지방흡입이나 치료제 처방 및 관리 비용도 만만치 않게 든다. 10회 치료를 받는 데 수백만 원을 선불로 결제할 걸 요구하는 사례도 많다. 이 경우에도 정부가 치료비를 지원하는 건 거의 없다.

박철영 대한비만학회 이사장은 “비만과 관련해 정부 기준이 정해지지 않다 보니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보험공단 모두 다른 기준을 사용하고 있다”며 “비만과 싸울 준비가 전혀 안 돼 있다. 특히 소아청소년 비만 인구가 폭발적으로 늘어 심각한 상황인데 여전히 방치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사회경제적 손실을 막고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선 비만 환자들이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개인에게 맡길 게 아니라 건강보험 적용 등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중증 비만 환자나 이미 동반 질환을 갖고 있는 비만 환자들에게 이 같은 지원이 꼭 필요하다. 이들을 치료하지 않으면 각종 만성질환 가능성이 높아져 결국 사회적으로 더 큰 부담이 된다.

특히 소아청소년의 비만 관리는 사회적으로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다. 박희승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하는 비만기본법을 발판으로 비만 관련 체계적 정부 통계가 만들어지고 연구와 함께 대책 마련이 진행되길 바란다.
#남성 비만#비만#국민 건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