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중추절은 흐렸다 다시 갰는데, 금년 중추절은 흐리고 또 흐리네. 백년 인생에 호시절은 자주 못 만나는 법, 백발이 차츰 늘어나면서는 특히 더하지. 내 맘속에 원래 밝은 달 간직했으니, 길이길이 둥근 모습 영원히 이지러지지 않으리. 산하와 대지가 그 맑은 빛을 품었거늘, 굳이 중추절에만 즐거움을 누릴 건 아니라네. (去年中秋陰復晴, 今年中秋陰復陰. 百年好景不多遇, 况乃白髮相侵尋. 吾心自有光明月, 千古團圓永無缺. 山河大地擁淸輝, 賞心何必中秋節.)
―‘중추절(중추·中秋)’ 왕수인(王守仁·1472∼1528)
변화무쌍한 인생살이에 호시절은 너무나 짧고 빠르게 흐른다. 늘그막이 되면 그런 느낌은 한결 더할 듯하다. 하나 시인의 심지는 흔들림 없이 꿋꿋하다. 한가위, 하늘은 맑았다 흐렸다를 반복하지만 시인의 보름달은 영원토록 이지러지지 않기 때문이다. 길이길이 둥글고 청정하기 때문이다. 나의 공명정대한 기개, 청정무구한 심지가 살아있는 한 세상 만물은 나와 더불어 언제나 광명한 정기(精氣)를 발산하리라.
옛 시에 등장하는 달의 풍경은 풍요, 향수, 그리움, 음주, 인생무상 따위로 점철되기 마련인데, 이 시는 드물게 시인의 삶에 대한 낙관과 옹골찬 절조(節操)를 보여준다. ‘인간에겐 슬픔과 기쁨, 이별과 만남이 있고, 달에는 흐림과 맑음, 둥긂과 이지러짐이 있는 법’이라 했던 소동파의 달관 못지않게 더없이 활달(豁達)하다. 이론과 실천, 앎과 삶의 합치를 표방하는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을 주창한 철학자의 기품이 풍겨 나는 노래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