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종국의 육해공談]제주-부산 외 경쟁력 있는 지방공항은…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0월 1일 23시 06분


코멘트
이스타항공 여객기가 김포국제공항에서 출발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이스타항공 여객기가 김포국제공항에서 출발을 위해 대기하고 있다. 변종국 기자 bjk@donga.com
8월 저비용항공사(LCC) 이스타항공이 군산∼제주 노선의 동절기(10월 27일∼내년 3월 29일) 운항을 중단하기로 하자, 군산을 비롯한 전북도 지역 민심이 들끓었다. 군산∼제주 노선은 이스타항공과 진에어가 각각 하루 2회, 1회씩 총 3회 운항하는데, 전체 운항의 3분의 2가 줄어들기 때문이다. 이스타항공은 “한 편당 적자 폭이 넓어서 연간 수억 원의 손해를 보고 있고, 동계는 기상 문제로 결항이 잦아 운항을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고 밝혔다. 이스타항공은 2020년 파산 직전까지 몰렸던 경험이 있다. 가까스로 살아난 만큼 수익성에 민감할 수밖에 없다.

변종국 산업1부 기자
변종국 산업1부 기자
그러나 지역에선 “이윤만 좇아 노선을 줄이는 항공사”라는 규탄의 목소리가 나온다. 군산시와 전북도는 이스타에 손실 보전을 위해 6개월간 약 1억8000만 원을 지원했다. 항공기에 쌓인 얼음과 눈 등을 제거하는 제·방빙 시설을 지어주겠다고도 했다. 그런데도 운항을 중단하는 건 ‘배신’과도 같다는 것이다. 수익을 생각해야 하는 항공사, 지역 주민 교통 편의를 위해 항공사를 지원해야 하는 지자체. 보는 관점에 따라 양측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그러나 지방 공항의 경쟁력 차원에서 문제를 볼 필요가 있다. 지방 공항의 항공사 취항에 따른 갈등은 군산만의 일이 아니다. 국내 항공사들은 사천, 양양, 울산 등 지방 공항 취항을 반기지 않는 분위기다. 수익성이 낮기 때문이다. 항공업계에 따르면 그나마 수익성이 있는 국내선은 제주와 부산 노선 정도다.

이에 지자체들은 항공사업법과 지자체 조례 등에 따라 항공사에 재정 지원을 한다. 군산시도 취항 독려를 위해 손실보전금이라는 이름으로 6개월간 1억8000만 원을 지원했다. 운항 횟수로 나눠보면 1회 왕복당 약 49만 원을 지원했다는 계산이 나온다. 군산∼제주 평균 운임 기준 승객 3, 4명을 지원해 준 셈이다. 편당 수백만 원의 손해를 보는 항공사 입장에선 감사한 지원이지만, 손실을 메울 수 있는 정도는 아니다.

손실보전금은 항공사 유치를 위해 쓴 마케팅 비용이자 지역 교통 편의를 위해 쓴 복지 명목 예산이다. 지자체가 자발적으로 내준 돈을 항공사 운항 중단을 비난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건 맞지 않아 보인다. 이런 지원이 없다면 취항 자체를 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군산공항의 항공기 착륙료는 약 59만 원으로, 12만 원 수준인 양양과 울산공항보다 약 5배 높다. 군산시 등이 이 중 36만 원가량을 감면해 주고 있는데 양양은 전액을, 울산은 절반을 감면해 준다. 제주공항은 이런 지원 자체가 없다. 누구나 취항하려 하기 때문이다.

일부 일본 소도시들은 지자체뿐 아니라 지역 관광 및 여행업계가 함께 모여 항공사 취항을 위한 자금과 지원책을 마련한다. 한국을 직접 찾아와 재정 지원을 제안하며 자기 지역에 취항해 달라며 읍소에 가까운 요청을 한다. 일본이 노선 운항을 중단했다고 “보조금까지 줬는데 운항을 멈췄다”고 비판했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

항공사들이 이익을 추구하는 건 자연스러운 이치다. 명분만 앞세우며 항공사를 다그쳐서는 항공사를 취항시키고 붙잡는 데 한계가 있다. 이용객들과 항공사들이 많이 몰릴 수 있는 매력적인 공항인지, 지자체는 공항 경쟁력을 갖추려 얼마나 노력했는지 되돌아봐야 한다.
#이스타항공#여객기#김포국제공항#저비용항공사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