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맘 먹고 집에 쓸 나무 가구를 맞추기로 했다. 일부러 서로 겹치는 지인이 없는 젊은 신인을 찾았다. 전자는 소개해준 사람이 사이에 껴 무안할 일이 없게 하고 싶어서, 후자는 그의 젊음에 내 불확실성을 거는 동시에 나의 발주가 그에게 기회가 됐으면 해서였다. 그 결과 찾아낸 젊은 가구 제작자는 내가 2024년 만난 보물 같은 인연이었다. 일도 잘하고 말도 잘 통해 개인적으로도 가까워졌다.
일 이야기를 계속 하느라 작업실에도 자주 갔다. 가구 작업실은 처음이라 신기했다. 그의 깔끔한 작업실 한편엔 가구를 만들다 남은 나무 부스러기들이 있었다. 부스러기라 해도 상급 목재를 깔끔하게 잘라낸 조각들이니 그 자체로 조각품이나 장식품처럼 보였다. 그것들을 한참 만지작거리다 깨달았다. 부스러기에 너무 깊이 빠지면 안 된다는 걸. 뭔가를 만들 때는 반드시 부스러기들이 나오는데, 거기에 너무 깊은 의미를 부여하면 앞으로 나갈 수 없다는 걸.
나의 직업에도 부스러기가 있다. 정보를 만들기 위해 기획해서 뭔가를 취재하고 편집하는 게 내 일이다. 일정한 수준과 분량의 정보를 만들려면 제작 과정에서 쓸 순 있으나 넣을 필요는 없는 것들이 생긴다. 글의 경우에는 재치 있는 표현을 기껏 생각해냈다 싶은데, 짧은 글에 그런 표현이 2번 들어가면 과하다 싶을 때가 있다. 그런 걸 걷어내야 한다. 나는 나니까 내가 공들여 만든 게 아까울 수 있다. 바로 그 마음에서 벗어나야 한다.
일의 과정에서 생겨나는 부스러기뿐 아니라 일을 하고 나면 만들어지는 부스러기도 있다. 가구 제작자와 나는 분야는 다르지만 다른 사람들이 보고 사용하는 걸 만든다. 우리가 만드는 제작물에 대한 모든 반응 역시 개념적으로 부스러기다. 좋은 반응이 많으면 좋겠지만 그럴 수는 없다. 소모적인 오해, 도를 넘는 비난, 억울한 조롱…. 현실 세계의 반응 대부분은 이런 것이기도 하다. 하나하나 모두 마음에 쓰이지만 어쩔 수 없다. 부스러기는 부스러기일 뿐이다.
부스러기는 일의 소중한 일부이기도 하다. 작업을 하다 남은 것들은 또 다른 일의 재료가 되곤 한다. 가구 제작자 역시 자기 작업의 부스러기를 잘 정리해두고 있었다. 나 역시 어떤 취재에서 알게 된 걸 그때 쓰지는 못하고 다른 기획에서 활용한 적이 많다. 어느 원고 편집 과정에서 잘라낸 재치 있는 표현으로 다른 글을 쓸 수도 있다. 남의 반응 역시 그게 뭐든 의미 있는 피드백이다. 외골수가 되자는 게 아니다. 중요한 걸 잊지 말고, 부스러기에 집중하지 말자는 뜻이다.
그때 보았던 가구 제작자의 눈빛이 종종 떠오른다. 그는 부스러기를 잊고 눈앞의 나무만 깎고 있었다. 목표에 집중하면 부스러기가 낄 틈이 없다. 오히려 외골수가 되면 부스러기에 집착하는 것 같기도 하다. 결과물의 작은 세부 요소 하나에, 누군지도 모르는 타인의 작은 반응 하나에. 그 역시 일에 집중한다는 방증이지만 올해는 거기서 벗어나고 싶다. 새해만의 이야기는 아니지만 새해에 하기 좋은 다짐 같아 이런 이야기를 적어 본다. 한 번쯤 각자의 목표와 부스러기에 대해 생각해봤으면 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