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은 회고록에서 “감옥은 작지만 큰 대학”이라고 했다. 내란 음모 사건으로 사형을 선고받은 그는 옥살이 6년간 하루 10시간씩 독서하고, 그리운 가족과 편지 주고받고, 화단을 가꾸며 “여기 오지 않았더라면 깨칠 수 없는 진리를 깨쳤다”고 썼다. 하지만 이는 예외적인 예찬일 뿐 감옥은 두 번 다시 가고 싶지 않은 곳이다. 최고 권력을 쥐어본 이들에겐 더욱 그러할 것이다.
▷역대 대통령 중 수감 생활을 한 이는 전두환, 노태우, 박근혜, 이명박, 윤석열 대통령. 속칭 ‘범털’들은 입소 초기엔 음식 때문에 고생한다. 박 전 대통령은 구치소 음식이 짜서 맨밥만 먹다가 나중에는 컵라면을 사서 물을 많이 부어 먹었다고 한다. 전, 노 두 전직 대통령이 안양교도소와 서울구치소에 수감돼 있다가 12·12와 5·18 사건 등으로 같은 법정에 출석해 처음 나눈 대화는 유명하다. “자네 구치소에선 계란프라이 주나?” “안 준다.” “우리도 안 줘.”
▷수감 생활 중 병원 신세를 지는 경우도 많다. 건강을 핑계로 쉽게 탈옥한다는 비난이 제기되지만 고령인 탓이 크다. 구치소에선 튼튼한 장정도 1년 지나면 몸이 망가지기 십상이라고 한다. 이 전 대통령은 구속된 지 4개월 만에 수면 무호흡과 당뇨로 입원했다. 박 전 대통령은 건강이 나빠져 형 집행정지를 두 차례 신청했지만 검찰이 모두 불허했다. 공교롭게도 윤 대통령이 서울중앙지검장과 검찰총장이던 시절이다. 결국 법무부 결정으로 외부 병원에 입원해 수술을 받았다.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으로 석방된 윤 대통령은 “잠을 많이 자니 더 건강해졌다” “구치소는 대통령이 가도 배울 게 많은 곳이다”는 말을 했다고 한다. 한밤중 계엄 선포로 밤잠 설쳐가며 나라 걱정하는 사람들이 듣기엔 불편한 말이다. 윤 대통령은 응원해준 국민들에게 감사하고, 내란 혐의로 구속된 계엄군의 석방을 기도한다고 했다. 좌우 할 것 없이 어려움과 분열을 겪는 모든 국민들에게 사과하고 화합을 당부했어야 하지 않나. 배울 게 많은 곳에서 무엇을 배웠다는 걸까.
▷윤 대통령은 그동안 구속 기소했던 사람들 생각이 많이 났다며 양승태 전 대법원장과 임종헌 전 법원행정처 차장을 언급했다고 한다. 서울중앙지검장 시절 사법농단 의혹 수사를 지휘하며 구속시킨 이들로 양 전 대법원장은 1심에서 무죄, 임 전 차장은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다. 두 사람만 콕 집어 지목하자 ‘보수층 외연 확장을 노린 발언’ ‘재판을 앞두고 법원에 선처를 호소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윤 대통령의 수감 생활은 52일, 이 중 8일은 헌법재판소, 하루는 내란죄 법정에 출석했다. 많은 이들이 공감할 수 있는 배움을 얻기엔 갇혀 지낸 시간이 길지 않았던 듯하다.
30번째 탄핵을 준비하는 상대가 화합할 수 있는 상대로 보이나? 정작 감방가서 배워야할 사람이 누군가? 모르면 이진영 당신이 먼저 배움이 필요하다.
2025-03-11 02:54:03
너가 들어가서 느껴보는게 좋을꺼 같다 상대넘들이 화합 대상이 되는것들 인가? B S 아 !!!
2025-03-11 00:05:12
짧을 기간이긴 하나, 아마도 분명히 많을 것을 배웠을 것이다. 자발적으로 갈 곳이 아니니 더욱 그러하다. 세상에 살다보면 벼라별 일을 보거나 겪는다. 이런 경험을, 보다 더 높은 곳에서 지혜롭게 세상을 바라보는 데 이르게 되는가 아니면 주저앉아 버리고 마는가 하는 차이점이, 정말 배웠는지 아니면 도피성 발언이었는지를 가르는 잣대가 될 것이다. 두고 볼 일이다.
너란 여자는 대통령이 억울하게 불법으로 감방에 갇혔는데 일찍 나와서 불만이냐? 골자가 뭐냐? 어이가 없네
2025-03-12 08:07:40
배운건 모르겠지만 다짐한 건 있을 듯, 기각으로 복귀되면 이번엔 잘 준비해서 한방에 싹 쓸어버려야지! 라고. 평균적 민주공화국 이해도, 평형적 사고의 시대는 우리에게 올 날이 있는건지! ㅠ
2025-03-11 19:50:57
윤대통령이 교도소에서도 배울점이 많다했다. 대통령이 배울점이 많다 했으니 국회의원들은 배울게 더 많지 않을까? 전과자 의원들 순번을 정해서 3개월씩 수감 생활하면서 많이 배우고 돌아와서 국민을 위한 바른 공복이 되길 바라는 건 나만의 욕심일까. '배워서 남주나'. 이 말을 명심하시 고, 교도소에서 공부들 열심히 하셔서 국민의 훌륭한 공복이 되시기 바랍니다.
댓글 68
추천 많은 댓글
2025-03-11 01:45:40
30번째 탄핵을 준비하는 상대가 화합할 수 있는 상대로 보이나? 정작 감방가서 배워야할 사람이 누군가? 모르면 이진영 당신이 먼저 배움이 필요하다.
2025-03-11 02:54:03
너가 들어가서 느껴보는게 좋을꺼 같다 상대넘들이 화합 대상이 되는것들 인가? B S 아 !!!
2025-03-11 00:05:12
짧을 기간이긴 하나, 아마도 분명히 많을 것을 배웠을 것이다. 자발적으로 갈 곳이 아니니 더욱 그러하다. 세상에 살다보면 벼라별 일을 보거나 겪는다. 이런 경험을, 보다 더 높은 곳에서 지혜롭게 세상을 바라보는 데 이르게 되는가 아니면 주저앉아 버리고 마는가 하는 차이점이, 정말 배웠는지 아니면 도피성 발언이었는지를 가르는 잣대가 될 것이다. 두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