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은 나의 해]<4>소설가 김연수씨

  • 입력 2004년 1월 13일 18시 15분


코멘트
소설가 김연수씨는 “나는 천재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삶을 공부하며 생의 보편성을 찾아간다”고 말했다. -박영대기자
소설가 김연수씨는 “나는 천재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의 삶을 공부하며 생의 보편성을 찾아간다”고 말했다. -박영대기자
올해 내내 소설가 김연수씨(34)는 1930년대에 머물러 있을 것이다. 먼저 중국에서 항일독립운동을 벌였던 청년들의 삶을 장편소설로 써서 1년간 계간 ‘파라21’에 나눠 실을 계획이다.

“당시 투쟁조직 내 여러 파벌의 내부를 들여다보면 오늘날 우리 사회의 다양한 이념들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그 원천이 드러날 것 같습니다.”

지난해 12월 1차 ‘정탐’차 소설의 배경이 되는 중국을 찾아 한 달여간 옌볜(延邊) 하얼빈(哈爾濱) 등을 답사했다. 2월 말 그는 6개월 일정으로 다시 옌볜으로 떠난다. 지난 1년간 국회도서관에 소장된 독립운동가들의 회고록 필사본과 독립운동 관련 서적들을 읽었고, 옌볜대 도서관에서도 자료를 구했다. 한 차례 기초조사가 끝나고 나니 1930년대의 큰 밑그림이 그려져 요즘은 당시의 신발, 옷, 음식 등의 디테일을 수집하고 있다.

“옌볜의 눈은 습기가 많지 않아 쌀알처럼 흩어지더라고요. 또 룽징(龍井) 시내에는 옛 건물들이 그대로 남아 있어 과거의 역사를 상상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체험하는 것 같아요. 옌지(延吉)에서 하얼빈까지는 11시간 동안 밤기차를 타고 갔습니다. 한국에서는 겪을 수 없는 일들이지요.”

2001년 동서문학상 수상작인 ‘달빠이, 이상’을 통해 그는 동년배 작가들과 자신의 작품세계를 분명하게 구별 짓기 시작했다. 그는 “역사적 인물들을 통해 현대를 볼 수 있는 작업을 하고 싶다”고 말한다. 문학평론가 방민호 교수(국민대)는 그에 대해 “사실(史實)에 바탕을 두면서도 자료와 자료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인문학적 상상의 틈을 넓히는 작가”라고 한국 문학의 지형 내에서 그의 역할을 평가한다.

“항일운동 기록마다 서로 평가가 다르고, 날짜와 숫자도 잘 맞지 않아요. 저는 그럴 때 기록자의 위치에서 상상하며 읽습니다. 자료가 충돌해 생기는 ‘틈’에 대해 역사가들은 쉽사리 못 박아 말하지 못하지만 소설가는 가능하죠. 그 빈 공간을 메우는 작업이 저는 참 재미있습니다.”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탈고하고 나면 그는, 30년대 경성 장곡천정(長谷川町·현재 서울 중구 소공동)에 있었던 다방 ‘낙랑 팔라’를 논픽션으로 복원해낼 계획이다. ‘낙랑 팔라’는 작가 이상(李箱)의 실제 삶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했던 장소.

“‘낙랑 팔라’는 당대 내로라하는 문인들과 예술가, 신문기자들의 집결지였어요. 그곳에 어떤 레코드가 꽂혀 있었는지, 커피값은 얼마였는지, 설탕은 몇 스푼이나 넣어서 마셨는지…. 이 모든 것들이 궁금해요. 다방 한 곳을 글로 복원해냄으로써 30년대 문화계의 모습을 생생하게 되살릴 수 있을 겁니다.”조이영기자 ly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