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포커스]박영숙씨,“여자를 미치게 하는 현실을 찍죠”

  • 입력 2004년 2월 10일 19시 28분


코멘트
회갑을 넘긴 나이에도 ‘미친년 프로젝트’라는 도발적 화두를 던지며 활동하는 페미니스트 사진작가 박영숙씨. 박씨는 넋 나간 여성들의 개인적인 모습을 통해 여성을 억압하는 사회구조를 들여다보고 싶다고 했다.  -권주훈기자
회갑을 넘긴 나이에도 ‘미친년 프로젝트’라는 도발적 화두를 던지며 활동하는 페미니스트 사진작가 박영숙씨. 박씨는 넋 나간 여성들의 개인적인 모습을 통해 여성을 억압하는 사회구조를 들여다보고 싶다고 했다. -권주훈기자
페미니스트 사진작가 박영숙(朴英淑·63)씨는 6년째 ‘미친년 프로젝트’에 매달리고 있다. 박씨가 말하는 ‘미친년’은 ‘남성 중심의 억압된 사회에서 제 정신으로는 살기 힘든 여성’을 가리키는 말이고, 그렇게 넋을 놓아버린 여자들을 카메라에 담는 작업이 ‘미친년 프로젝트’다.

“1999년 어느 정신병원을 견학할 때 마주친 여성을 잊을 수가 없었습니다. 무엇인가를 너무나 소중히 감싸안은 채 마주치는 병원 관계자들에게는 비굴하게 웃음 짓던 환자였지요. 나중에 사연을 들어보니 이혼하면서 젖먹이까지 내준 뒤 미쳐버린 여자였습니다.”

아름다움만 예술의 대상이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때부터 ‘무시해도 좋을’ 정신 나간 여자들이 외면할 수 없는 현실임을 깨달았고 박씨의 피사체가 됐다.

젖먹이를 안 듯 베개를 꼭 끌어안고 두 눈에서 광기를 번득이는 여자, 남편의 바람기를 확인한 뒤 더러움을 닦아내듯 계속 칫솔질을 하는 여자, 아들이 입다 버린 청바지에 남편의 러닝셔츠를 아무렇게나 걸쳐 입은 성(性)을 잃은 여자….

박씨는 1999년 여성문화예술기획이 주최하는 여성미술대전 ‘팥쥐들의 행진’, 2001년 광주시립미술관 주최로 열린 오월정신전 ‘행방불명’, 2002년 광주비엔날레 ‘집행유예’ 등의 일환으로 ‘미친년 프로젝트’ 연작을 선보였다.

7일까지는 일본 오사카(大阪)시 도시협회 주최로 열린 ‘오사카 현대미술제:2003년도 겨울-젠더’에서 이 주제로 전시회를 가졌다.

“한국에서와 반응이 똑같은 것을 보고 놀랐어요. 여자들은 말이 필요 없고 사진만 보면 그냥 알아버립니다. 반면에 남자들은 아무리 설명을 해줘도 이해를 잘 못하지요.”

박씨는 63년 숙명여대 사학과를 졸업한 뒤 전공보다 더 애정을 쏟았던 사진기술을 살려 취업 전선에 나섰다. 여성은 ‘누드’가 아니고서는 사진의 세계에 발을 들여놓기 힘든 시절이었다. 물론 ‘페미니즘’이란 단어도 없었다.

“한 중앙일간지 사진기자 시험을 봤습니다. 면접관이 묻더군요. ‘사회부 기자와 함께 살인 현장에도 가야 하고, 좁은 암실에서 남자 기자들과 야간작업도 해야 한다. 할 수 있겠느냐’고요. 저는 할 수 있다고 대답했지만 결국 떨어졌어요.”

80년대 초까지는 잡지사 이곳저곳을 옮겨 다녔다. 몇 년 다닐 만하면 인사에서 ‘물’을 먹거나 사진부장과 사이가 틀어졌다.

“왜 사회에서 부당한 대접을 받아야 하는지 답답하기만 했어요. 86년 모교 산업대학원 사진디자인과를 졸업하고 페미니즘 단체인 ‘또 하나의 문화’에서 페미니즘을 접하고는 모든 의문이 풀렸지요. 그리고 이 문제에 대한 해법도 페미니즘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박씨는 1988년 ‘또 하나의 문화’에서 만난 페미니스트 여류 화가들과 ‘우리 봇물을 트자’라는 제목으로 회화 및 사진전을 가졌다. ‘나는 페미니스트 사진작가’라는 정체성을 갖고 작품 활동을 시작한 원년이다. 그 이전의 작품은 모두 버렸다.

그리고 페미니즘을 공부하면서 정체성을 다듬어 나갔다. 박씨에게 ‘미친년’이란 화두를 던져준 것은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의 저서 ‘광기의 역사’였다.

“사회에서 숱한 난관에 부닥치면서도 삶을 긍정하는 힘을 잃지 않았던 것은 어린 시절 성장 배경에 있어요. 제가 8남매의 맏이인데 딸이라고 차별받기는커녕 아버지의 편애를 받고 자랐지요. 집안에 소중한 것이 생기면 가장 먼저 제 손에 들어왔고 제가 싫증을 내야 다른 식구들에게 차례가 돌아갔습니다. 토목업을 하는 아버지가 사진기를 들고 다니셨기 때문에 저는 중학교 2학년 때부터 사진기를 가지고 놀았어요.”

박씨에게 한 컷의 스틸사진은 끝도 없이 이야기보따리를 풀어놓을 수 있는 화수분이었다. 페미니스트임을 선언하고 세상을 향해 할 말이 많아진 박씨에게 사진은 이제 강력한 소통의 힘을 가진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다.

“여자들이 미치지 않고서도 온전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이 올 때까지 ‘미친년 프로젝트’를 계속할 생각이에요. 당장은 이 주제로 개인전을 갖는 것이 소망입니다.”이진영기자 ecolee@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