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물포커스]아버지 전집 펴내는 ‘박헌영 아들’ 원경스님

  • 입력 2004년 5월 30일 17시 51분


평택 만기사의 대웅전 앞에 서서 환히 웃고 있는 원경 스님. 절집을 옮길 때마다 아버지와 아버지의 첫 부인(주세죽), 세번째 부인(윤레나) 등의 위패를 모시고 다닌다지만 그의 얼굴에선 지난 세월의 그림자를 찾아보기 힘들다.-평택=원대연기자
평택 만기사의 대웅전 앞에 서서 환히 웃고 있는 원경 스님. 절집을 옮길 때마다 아버지와 아버지의 첫 부인(주세죽), 세번째 부인(윤레나) 등의 위패를 모시고 다닌다지만 그의 얼굴에선 지난 세월의 그림자를 찾아보기 힘들다.-평택=원대연기자
비산비야(非山非野)의 아늑한 야산에 자리한 평택 만기사(萬奇寺)의 주지 스님은 첫 인상부터 넉넉했다. 미리 얘기를 듣지 않았다면 그가 우리 현대사의 모순을 첩첩이 짊어진 인물임을 전혀 느낄 수 없을 정도였다.

원경(圓鏡·63). 환갑을 넘긴 연배에도 장대한 기골에 여유로운 풍모, 산사의 스스럼없는 대화 속에 슬쩍슬쩍 스치는 우수가 인상적이었다. 그러나 아버지 박헌영의 인간적 면모와 자신의 스산했던 지난날을 얘기하는 대목에선 어쩔 수 없이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지난달 ‘이정 박헌영 일대기’(역사비평사)를 출간한 데 이어 7월 9권짜리 전집까지 펴낼 예정이니 이 땅에 유일하게 남은 혈육으로서 심정이 간단할 리 없었다.

○영화 ‘박헌영’도 제작 준비중

“그저 부처님께 죄송할 따름이지요. 그 품이 아니었으면 이 한 몸 어디 휩싸였을지 알 수 없는데 이렇게 속세의 인연을 끊지 못하고 있으니…. 그러나 저 아니면 누가 이 일을 하겠습니까. 이쪽에선 ‘골수 공산주의자’요, 저쪽에선 ‘미제의 간첩’에 ‘종파분자’라니….”

그로선 이 ‘일대기’와 ‘전집’이 1983년부터 자료와 사람을 모으고 자금을 염출하는 등 동분서주해 온 결과물이니 ‘20년 공사’에 해당한다. 게다가 그 과정에서 부친의 제삿날(7월 19일)까지 찾았으니 ‘후련하다’거나 ‘이제는 선친에게서 해방되고 싶다’는 얘기를 하지 않을까 생각했지만 예상은 완전히 빗나갔다.

“전집의 편집을 끝낸 뒤 발굴한 자료가 벌써 책 한 권 분량이 넘어요. 1933년 상하이에서의 체포에 대한 코민테른 보고서, 1956년 김일성 방소 때 스탈린과의 ‘박헌영 망명’ 합의 기록 등 자료가 다시 쌓이고 있습니다. 증보판을 내야지요.”

원경 스님의 어조에 힘이 들어가기 시작했다. ‘부처님께 죄송하다’던 조금 전의 겸사(謙辭)도 잊은 듯했다.

그가 이미 진행 중인 후속 작업만도 상당하다. 10월엔 ‘박헌영과 그 시대’라는 심포지엄이 열리고, 그 무렵 한 계간지에 ‘박헌영 평전’(임경석 성균관대 교수)이 연재되기 시작하며, 영화 ‘박헌영’ 제작을 위해 현재 시나리오 작업(소설가 송기원)도 진행 중이라는 것.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미발굴 코민테른 문서철에서 부친의 ‘결정적인 족적’을 찾아내는 등 안정적인 연구를 위해 부친의 호를 딴 ‘이정 기념사업회’ 설립 작업을 하느라 여간 바쁜 게 아니다.

○“이현상이 ‘가짜 김일성론’ 폈다”

여기서 원경 스님은 부친의 호 ‘이정(而丁)’이 ‘써레와 망치’ 모양으로서 농민과 노동자를 뜻하는 동시에 스스로 ‘이 놈’이라고 호칭하던 것을 한자로 옮긴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런 내용은 일제강점기 말 경성콤그룹 시절 이래 부친의 동지이자 1968년까지 자신의 후견인 역할을 하다 홀연히 사라진 한산(寒山) 스님에게서 들은 내용이라고 덧붙였다.

“사실 한산 스님이 ‘말할 수 있는 세상’이 오면 자료를 찾아 묶어 놓으라며 해 준 얘기들 중엔 아직도 실증하지 못한 것들이 많아요.”

원경 스님이 “아직 실증되지 않았으나 사실임이 분명하다”며 소개하는 얘기 몇 토막.

“이현상이 군사훈련을 위해 1947년 소련으로 떠나기 전 평양의 회식 자리에서 ‘가짜 김일성’론을 폈다는 거예요. 그의 항일무장투쟁 전체를 부정한 것은 아니고 최소한 보천보사건(1937년)의 김일성만은 당시 북의 김일성이 아니라는 얘기였어요. 선친이 나서서 무마하고 함구령을 내린 뒤 이현상을 지리산으로 들여보냈다더군요.”

“꼭 찾아야 할 자료가 1945년과 47년 두 차례 선친이 스탈린에게 직접 보냈다는 ‘정책입안보고서’입니다. 패전국 일본을 미국 소련이 ‘독일 방식’으로 분할하지 않으면 결국 문제가 될 것이라는 내용이었다지요. 동북아 정세를 보는 선친의 시각이 담긴 주요 문건입니다.”

○“책 낸다고 그분 설땅 있겠어요?”

원경 스님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 이런 식으로 해방 전후의 좌익운동사에 관한 한 ‘무불통지(無不通知)’다. 얼마나 사무쳤으면 그렇게 ‘통하였을까’. 그러나 그것도 잠시, 그의 말이 정수리에 박힌다.

“제가 이렇게 하고 책 몇 권 낸다고 그분의 ‘설 땅’이 생기겠어요. 남북이 나뉘다 보니 각자 자기네 정치상황에서 평가할 수밖에 없는 거지요.”

아마 지금 승속(僧俗)을 넘나드는 원경 스님이야말로 장차 남북의 경계를 자유로이 넘나들 수 있는 넉넉한 통일의 날을 누구보다도 고대하는 인물일 듯했다.

평택=김창희기자 insight@donga.com

원경 스님은…

△1941년 박헌영(朴憲永)과 두 번째 부인 정순년(鄭順年) 사이의 아들로 청주에서 출생. 본명 박병삼(朴秉三).

△해방 때까지 경기도 과천에서 할머니 와 이순금(김삼룡의 부인)의 손에 양 육. 그 뒤 6·25 직전까지 큰아버지 와 서울 장충동에서 생활.

△1945년 8월∼1946년 9월 사이 여섯 차례 부자 상봉.

△1950년 3월 김삼룡, 이주하의 체포 뒤 한산 스님과 함께 과천, 구례, 동 해, 단양, 담양, 무주 등을 전전. 덕 유산에서 ‘이현상 부대’와 만나 1952년 말까지 지리산에서 ‘산사람’들과 2년 여 생활.

△그 뒤 다시 전국의 사찰을 전전하다 1960년 인천 용화사에서 송담(松潭) 스님을 은사로 출가. 여주 서래암, 안성 청룡사, 여주 신륵사 주지 역임.

△1986년 역사문제연구소 창립에 중 심인물로 참여.

△1991년 모스크바에서 누나 박비비 안나 상봉

△1995년 이후 평택의 만기사 주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