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석교수 “이젠 연구에 전념”

  • 입력 2004년 9월 16일 18시 56분


“지금보다 강도를 더욱 높여 연구에 몰두하려고 합니다. 눈앞에 닥친 난제들을 최단시간 내에 극복해야 세계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거든요.”

올해 2월 복제된 인간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해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황우석(黃禹錫·사진) 서울대 수의학과 석좌교수는 16일 “사회 각계의 과도한 관심을 물리치고 연구에만 전념하겠다”고 밝혔다.

황 교수는 “실험 내용이 미국의 과학전문지 ‘사이언스’에 게재된 이후 각종 강연과 행사 참여 요청이 끊임없이 이어졌다”며 “지난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더욱 연구에 매진하기 위해 다른 활동은 자제하겠다”고 말했다.

또 황 교수는 “현재 진행하고 있는 장기이식용 복제돼지 연구는 우리를 포함해 세계적으로 3개 연구팀이 치열하게 경쟁을 벌이고 있다”면서 “최근 호주의 한 연구책임자가 면역거부반응을 없애기 위해 돼지의 유전자 5개를 변형시켰다는 외신을 접해 놀랐다”고 덧붙였다.

돼지 장기를 인간에게 이식할 때 면역거부반응을 없애려면 최소한 6개의 유전자를 변형시켜야 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황 교수는 호주 연구팀의 논문이 학계에 정식 발표된 것이 아닌 데다 현재 돼지가 태어나지 않은 임신 상태라는 점을 들어 “아직 우리가 뒤지지는 않았다”고 강조했다.

황 교수는 “우리 연구실에는 토 일 공휴일 등 3요일이 없다”면서 “추석 연휴 때도 농장에서 제자들과 연구에 매달릴 것”이라고 말했다.

김훈기 동아사이언스기자 wolf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