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을 부수고 다시 세운 '비디오 사상가'

  • 입력 2006년 1월 31일 03시 04분


코멘트
1988년作 ‘다다익선’경기 과천시 국립현대미술관에 상설 전시 중인 백남준 씨의 ‘다다익선’(1988년 작). 개천절인 10월 3일을 기념해 1003개의 비디오 모니터를 한국의 전통 탑 모양으로 높이 18.5m, 최대 지름이 7.5m나 되게 쌓아 올린 이 작품은 백남준 비디오 아트의 ‘금자탑’으로 불린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1988년作 ‘다다익선’
경기 과천시 국립현대미술관에 상설 전시 중인 백남준 씨의 ‘다다익선’(1988년 작). 개천절인 10월 3일을 기념해 1003개의 비디오 모니터를 한국의 전통 탑 모양으로 높이 18.5m, 최대 지름이 7.5m나 되게 쌓아 올린 이 작품은 백남준 비디오 아트의 ‘금자탑’으로 불린다. 동아일보 자료 사진
백남준(白南準) 씨의 작품 중에 ‘TV 부처’라는 게 있다. 석굴암 불상(佛像)처럼 큰 불상이 작은 텔레비전을 내려다보고 있는 작품이다. TV 안에는 거울처럼 불상의 모습이 담겨 있다. ‘TV 부처’의 후속작 ‘테크니컬 부처’는 텔레비전이 컴퓨터 모니터로 바뀌었고 불상의 어깨 아래가 로봇의 내부처럼 훤히 드러나 있다. 불상의 귀에는 전화기가 달려 있고 불상 앞 컴퓨터 모니터는 이 모습을 있는 그대로 비추고 있다. 실재와 환영, 소통과 관계라는 주제를 담은 명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미술사에서 보면 세잔이나 피카소처럼 기존 방법론을 뛰어넘는 혁명가들이 있다. 백 씨가 바로 그런 사람이다. 그는 이전의 예술가들에게는 전혀 예술의 재료가 되지 못했던 텔레비전과 비디오를 예술의 영역으로 끌어들여 ‘비디오 아트’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든 사람이다. 그는 세계 최초의 ‘테크놀로지 사상가’였다. 그는 안주를 거부하고 평생을 방랑과 도전으로 점철된 삶을 살아온 전사(戰士)였다.

서울에서 경기중고교를 졸업한 그는 일본 도쿄대에서 미학과 음악사, 미술사를 두루 섭렵한 뒤 독일로 가 전자음악에 심취했다. 이곳에서 자신의 예술 인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전위 음악의 대가 존 케이지와 만나면서 본격적인 예술가의 길로 접어든다. 전통 악기 대신 플라스틱, 새털, 장난감 인형 등으로 바이올린이나 피아노를 연주하며 종래 음악의 정의를 해체시킨 케이지와 만난 그는 기존에 옳다고 믿었던 가치나 제도를 예술의 언어로 어떻게 깨뜨릴 것인가에 골몰한다.

이런 문제의식은 이후 그를 유명하게 만든 피아노·바이올린 부수기 퍼포먼스로 나타났다. 그는 악기를 때려 부순 게 아니라 악기로 상징되는 전통, 질서, 권위를 부수고자 했다.

그의 예술 인생에서 두 번째 중요한 사람이 요제프 보이스. ‘플럭서스 운동’(Fluxus·삶과 예술의 조화를 기치로 내건 탈장르적 예술운동)의 창시자인 보이스는 1963년 독일 부퍼탈의 파르나스 화랑에서 열렸던 백 씨의 첫 개인전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에 난데없이 도끼를 들고 나타나 전시 중인 피아노를 때려 부쉈다. 당시 독일 화단에서 유명했던 예술가가 듣도 보도 못한 동양인의 전시장에 나타나 퍼포먼스를 벌인 것 자체가 화제가 되었다. 이 사건은 독일 예술계에 백남준이라는 존재를 각인시킨다.

그러나 그는 여기에 안주하지 않고 이듬해 세계 예술의 중심무대인 미국 뉴욕으로 건너간다. 그의 열정적인 작업은 이내 뉴욕 화단에도 관심을 불러일으켜 마침내 1982년 뉴욕 휘트니 미술관에서 한국 작가로는 최초로 첫 회고전을 여는 개가를 올리게 된다.

그때까지만 해도 백 씨는 그저 전위예술가 정도로 국내에 알려져 있었다. 그러다 1984년 ‘굿모닝 미스터 오웰’이 뉴욕 파리 서울을 오가는 우주 중계로 KBS TV를 통해 생방송되면서 일약 스타로 부각되었다. 1984년 34년 만에 고국을 찾은 백 씨는 “예술은 사기다”라고 말해 논란과 함께 문화예술계에 파문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국내에서 그를 제대로 알아주지 않았지만 그는 한국 태생이란 것을 자랑스러워했고 남다른 조국애를 보여 주었다. 1986년 서울아시아경기대회와 1988년 서울올림픽을 기념해 잇달아 작품을 선보인 것도 그의 조국애의 발로였던 것이다.

그러나 예술에 대한 무서운 열정과 집념은 결국 그의 몸을 망가뜨렸다. 예순 넷 되던 1996년 뇌중풍(뇌졸중)으로 쓰러진 것. 하지만 갑작스러운 병고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신까지 망가진 것은 아니었다. 휠체어에 앉아 오른손만으로 끊임없이 작품을 쏟아내던 그는 2000년 2월 뉴욕 구겐하임 회고전을 거뜬히 치렀고 이듬해 스페인 빌바오 구겐하임 순회전, 2002년 한일월드컵 개막식 작품까지 해냈다.

뉴욕에 겨울이 닥치면 마이애미에 가서 휴양하곤 했던 그가 2004년 겨울 오랜만에 사람들에게 모습을 보였다. 뉴욕 소호 작업실에서 이제 자신의 마지막 퍼포먼스가 된 ‘피아노 부수기’를 선보였던 것. “나이가 들수록 한국 생각이 더 난다”고 했던 그는 자신의 이름 앞에 따라붙는 숱한 헌사를 뒤로한 채 낡은 옷차림에 휠체어를 타고 불편한 피아노 타법으로 아리랑을 연주했다. 언어장애까지 있었던 불편한 몸이었지만 자신의 격렬했던 저항 정신과 참여, 소통의 예술을 유감없이 보여 준 행사였다.

허문명 기자 angelhuh@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