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생명과학 세계적 수준 인재 이끌 지도자층은 부족”

  • 입력 2006년 7월 20일 03시 06분


코멘트
“한국의 생명과학은 세계적인 수준이다.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의 줄기세포 논문조작 사건으로 손상받은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인 과학자들에게 보내는 외국의 신뢰는 여전히 높다.”

미국 루이빌대 제임스그레이엄브라운암센터의 김신제(49·여) 교수는 18일 서울 강남구 역삼동 르네상스서울호텔에서 본보 기자와 만나 논문 조작 사건 이후 국내 생명과학 분야를 바라보는 외국 과학계의 시선을 이렇게 전했다.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생화학과 김성호(69) 교수도 이날 “국제적 경쟁력을 갖춘 벤처기업과 젊고 똑똑한 인재들이 한국 생명과학계의 소중한 자산”이라며 한국 생명과학계의 미래를 밝게 봤다.

김신제 교수는 최근 암 백신으로는 세계 처음 미국식품의약국(FDA)의 시판 허가를 받은 자궁경부암 백신 ‘가다실’ 개발에 핵심적인 구실을 한 세계적인 여성 과학자.

김성호 교수는 단백질 구조 분석과 신약개발 분야에서 300편 이상의 논문을 발표한 기초 생명과학의 세계적인 권위자다.

이들은 19∼22일 서울 강원 전북 충남 등 전국 각지에서 열리는 ‘2006 세계한민족과학기술자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최근 모국을 찾았다.

○ ‘한국 과학계 세계와 어깨 나란히’

김신제 교수는 “최근 한국인 과학자들의 논문 수가 급격히 증가했고 질적 수준도 많이 높아졌다”며 황 교수 사건 이후 움츠러든 국내 과학계를 다독였다.

이어 “특히 암 관련 분야의 한국인 과학자 논문은 내 연구에도 많은 도움이 돼 빼놓지 않고 읽는다”고도 했다.

김성호 교수도 “한국에 구조생물학 전문가는 많지 않지만 실력은 세계와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로 뛰어나다”며 맞장구쳤다.

두 재미 과학자에게 비친 한국인 과학자의 장점은 무엇보다 일에 충실하다는 것이다.

김신제 교수는 “특유의 성실성으로 연구 현장에서 존경받는 한국인 과학자가 늘어나 뿌듯하다”고 했다.

○ 핵심 연구자를 양성해야

한국은 일본이나 중국보다 생명과학 연구 역사가 짧다.

김성호 교수는 “우리 세대부터 세계적으로 실력을 인정받는 과학자가 배출되기 시작했다”고 했다.

하지만 “최근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어 따라잡을 가능성은 충분하다”고 말했다.

생명과학 ‘업그레이드’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그가 꼽은 것은 연구방향을 설정하고 이끌어 주는 핵심 연구자의 양성이다.

젊은 과학도는 많지만 연구 활동 전반을 이끌어 줄 핵심 연구자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임소형 동아사이언스 기자 sohyu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