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마음속의 별]배우 박중훈 씨, 최재천 교수를 찾아가다

  • 입력 2006년 11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이화여대 교정을 거닐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최재천 교수(왼쪽)와 영화배우 박중훈 씨. 박영대  기자
이화여대 교정을 거닐며 이야기를 나누고 있는 최재천 교수(왼쪽)와 영화배우 박중훈 씨. 박영대 기자
《배우는 살인자를 용서할 순 없어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합니다. 나아가 역지사지의 마음으로 극중 인물을, 즉 타인을 사랑할 수 있을 때 참된 연기가 나오는 것입니다. 최재천 교수님의 한결같은 생각, ‘알면 사랑한다’를 바탕으로 한 그의 저서들은 그 어떤 연기 이론서보다도 제게 큰 가르침을 주었습니다. 책을 읽으면 읽을수록 가슴을 따뜻하게 덥혀 주는 이 저자를 직접 만나 온기를 느끼고 싶었습니다. 인터뷰 내내 보여 준 온화한 미소는 그의 치열한 통찰적 지식과 함께 깊은 조화를 이루고 있었습니다. 온화함과 치열함은 대치되는 개념이 아니었던 것입니다. 마치 그가 얘기하는 ‘통섭(consilience)’처럼 말입니다.》

박중훈=(아주 반가운 얼굴로 두 손으로 악수를 한 뒤) 뵙고 싶었습니다.

최재천=(부드러운 미소와 눈웃음을 지으며) 제 책을 읽고 호감을 가지고 있다는 얘기는 전해 들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박=좋은 글을 써 주신 교수님께 제가 감사합니다. 사실 교수님 책을 주위 분들에게도 권하고 다닙니다. 영화배우 장동건 씨도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를 참 의미 있게 읽었다고 하더군요.

저도 예전의 마초 기질을 막연히 반성하고 있었는데 ‘여성의 시대에는 남자도 화장을 한다’를 읽은 뒤 남녀에 대해 구체적인 균형감을 가질 수 있게 됐습니다. 평소에 ‘알면 사랑한다’고 하셨는데 그럼 모르면 덜 사랑하거나 미워하게 되나요?

최=모든 명제에 역이 성립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생명은 기본적으로 이기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그래서 모르는 것에 대해 무작정 사랑하기는 힘든 겁니다. 알려고 노력하고 이해하려 하다 보면 사랑하게 된다는 것이죠.

박=그럼 실제 생활로 돌아와서, 남에게 근래에 화내 본 기억이 있으신가요?

최=(잠시 생각한 뒤) 별로 기억이 나질 않습니다. 화가 나도 표현을 하면 그 사람을 다시는 못 볼 것 같아 화를 못 내겠어요. (얼굴이 다소 굳어지며) 사실… 몇 해 전 제가 아끼던 제자가 본인의 이해관계 때문에 저를 공개적으로 부당하게 공격하고 다닌 적이 있었어요. 처음엔 많이 분노했지만 결국 속으로 삭이고 이해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전 그 녀석과 오랜 시간을 함께했기 때문에 좋은 사람이라는 걸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습니다. 언젠가는 다시 저와 함께 만날 사람이거든요. 주위에선 뭐 그런 사람을 이해하느냐며 저를 이해 못 하겠다는 사람까지도 있었어요.

박=저는 이해합니다. 교수님과 그런 면이 비슷한 사람을 잘 알거든요. 안성기 씨라고….

최=(다시 환하게 웃으며) 아, 그렇군요. 저는 그분의 큰 팬입니다. 아직 뵌 적은 없지만 참 존경스러운 분이죠.

박=그럼… 인생에서 화내신 적이 한번도 없다는 말씀이신가요?

최=제가 미국에서 공부할 때 제 아이가 학교에서 부당한 차별을 받아 입학을 거부당한 적이 있었어요. 학교의 명백한 잘못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제 아이의 정서가 불안하다는 거짓 이유를 들어 아이가 크게 상처받은 적이 있었습니다. 그때 정말 집요하게 글과 말을 총동원하여 거세게 항의하여 학교 측의 공개 사과를 받아 낸 적이 있습니다. 저는 괜찮지만 제가 아끼는 사람을 아프게 할 때는 견딜 수가 없습니다.

(정말 다행이었습니다. 화낸 적이 한번도 없다고 했으면 최 교수님을 이상하게 생각할 뻔했습니다.)

박=교수님이 힘주어 강조하시는 ‘통섭’이란 쉽게 얘기해 어떤 의미인가요?

최=세상이 숲이라 가정한다면, 우리가 알고 있는 각각의 분야는 나무인 것입니다.

(아무리 나무의 생김을 잘 알아도 숲이란 전체를 보지 못하면 세상을 볼 수 없듯이, 과학도, 인문학도, 그 어떤 분야도 함께 만나 어울리지 못하면 진리에 다다를 수 없다는 것이 통섭의 개념입니다. 진리는 하나이고, 결국 만난다는 것입니다.)

박=그렇다면 과학자인 교수님의 저서들이 저같이 예술하는 사람에게 영감을 준 것도 통섭의 초기 단계라고 믿어도 되겠습니까?

최=(웃음) 그렇게 생각해 줘 기쁩니다.

박=좀 느닷없는 질문이지만 우리 인간은 다른 동물과 달리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요?

최=인간은 동물과 달리 언어와 사고가 결탁돼 있는 ‘설명의 뇌’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물들은 세대마다 같은 동작을 반복하고 죽지만, 인간은 기록을 통하여 진보하고 있는 것입니다. 같은 실수를 안 하고 살 수 있는 것이 인간이죠.

박=오늘 반가웠고 감사했습니다.

최=(환하게 웃으며) 아 참, 영화인 앞이라서가 아니고 이 말씀을 꼭 드리고 싶은데요, 전 영화광입니다. 대학 때는 프랑스, 독일문화원에서 상영되는 영화 보기가 취미일 정도였죠. 요즘은 사극에 관심이 많이 가는데 얼마 전 아내와 함께 ‘왕의 남자’를 보곤 그 만듦새에 참 감탄했습니다.

박=(더 환하게 웃으며) 그럼 지금 극장에서 상영하는 제 영화 ‘라디오 스타’도 좀 봐 주십시오. 감독이 ‘왕의 남자’를 만든 이준익 감독님이거든요. 영화가 아주 재밌고 찡합니다. 영화를 좋아하신다니 정말 기쁩니다. 오늘 거듭 감사합니다.

최재천 교수님이 통섭을 강조하는 것은, 어쩌면 수십 년간 한 길을 성실히 파 온 장인만이 가질 수 있는 갈증이었을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만남 내내 떠나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지금 내가 걷고 있는 길을 열심히 가는 것이 진리에 다다르는 첫 단추일지도 모르는 것이지요. 배우 생활 더욱더 열심히 하기로 굳세게 마음먹었습니다.

박중훈 영화배우

■ 인터뷰 상대 바뀐 거 아닌가요?

“저를요? 스타는 박중훈 씨인데 혹시 그 반대 아닙니까?” 최재천 이화여대 석좌교수는 영화배우 박중훈 씨가 팬으로서 인터뷰를 하고 싶어 한다는 기자의 섭외 전화를 받고는 놀라더니 “나도 박중훈 씨 팬”이라며 흔쾌히 만남을 승낙했다. 전화로 약속을 정할 때도 두 사람은 서로 깍듯이 예의를 갖췄다. 박 씨가 먼저 “장소는 무조건 교수님 편하신 곳으로…” 하고 양보하자 최 교수는 “대스타를 내 쪽으로 오시라고 해도 되는 건지…. 어디 ‘중립지대’ 정도에서 만나는 것이 예의가 아닐까요”라며 상대를 배려했다. “경험상 인터뷰이(interviewee)의 마음이 편한 곳에서 해야 인터뷰 기사 내용도 좋더라”는 박 씨의 말에 따라 결국 인터뷰 장소는 최 교수의 ‘홈그라운드’인 이화여대 연구실로 결정됐다. 박 씨는 인터뷰 시간인 오전 10시에 정확히 모습을 드러냈다. 서로의 호칭은 ‘최 교수님’, ‘박 선생님’.

최 교수의 저서를 거의 모두 읽었다는 박 씨가 최 교수 이론의 핵심인 ‘통섭’을 화두로 삼아 구체적인 질문을 던지자 최 교수는 “여느 전문가와의 토론 못지않다”며 고개를 끄덕였다. 최 교수는 박 씨가 평소 화려한 비유법을 즐겨 사용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 듯 질문에 대답하기 전에 “‘비유의 황제’인 박 선생님 앞에서 ‘감히’ 비유를 좀 들어 본다면…” 하는 전제를 단 뒤 풍부한 비유법으로 자신의 이론을 설명했다. 이번엔 박 씨가 고개를 끄덕였다.

두 시간 예정이었던 인터뷰는 40분 이상 길어졌지만 두 사람은 “오늘 못다 한 이야기는 다음에 따로 만나서 하자”고 약속했고 박 씨는 자신의 휴대전화 연락처와 e메일 주소를 적어 건넸다. 최 교수는 박 씨에게 자신이 번역한 책 ‘통섭’을 선물했다.

인터뷰가 영화 ‘라디오 스타’ 때문에 한창 바쁜 시기에 이루어졌음에도 박 씨는 원고 마감일에 정확히 인터뷰 기사를 보내 왔다. 원고를 보낸 후에도 박 씨는 미묘한 뉘앙스의 차이를 주는 단어와 토씨 하나하나는 물론 오탈자까지 꼼꼼히 확인하며 일곱 차례나 수정 원고를 다시 보내왔다.

강수진 기자 sjkang@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