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과 수술이나 방사선으로 치료했던 뇌종양을 약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1일 포스텍 화학과 정성기 교수(사진)팀이 약물전달체에 항암제를 결합한 경구투여용 약물로 뇌종양을 치료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정 교수팀은 뇌종양에 걸린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했다.
뇌종양은 뇌와 함께 ‘혈뇌장벽’의 보호를 받는다. 혈뇌장벽은 뇌 전체를 보호하는 세포막 구조로 병원체나 독성물질은 물론이고 치료약물도 쉽게 통과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에는 뇌종양을 제거하기 위해 외과 수술로 혈뇌장벽을 열거나 방사선을 이용해 간접적으로 치료해 왔다.
정 교수팀은 탄수화물의 일종인 ‘소르비톨(sorbitol)’을 기반으로 약물전달체를 개발한 뒤 항암제를 합성했다. 이 물질은 혈뇌장벽을 지나 뇌종양까지 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 교수는 “약물을 먹인 쥐의 뇌종양이 제거된 것이 확인됐다”며 “뇌종양뿐만 아니라 향후 알츠하이머와 헌팅턴병 같은 퇴행성 뇌질환 치료제와의 결합도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영국화학회가 발행하는 의약화학학술지(MedChemComm) 온라인판 11일자에 게재됐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