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하버드대 의대 한국인 교수가 식물에서 항암 성분 천연물질 추출에 성공해 주목을 받고 있다. 하버드대 의대 매사추세츠 종합병원 이삼완 교수(53·사진)는 인도산 후추(학명 piperlongum)에서 추출한 ‘PL(Piperlongumine)’이라는 물질이 활성산소(정상세포가 이상하게 변해도 암세포가 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함)를 제거하는 효소를 억제해 암 치료에 탁월한 기능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관련 논문을 13일 세계적 과학저널 ‘네이처’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암세포에는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효소가 많은데 이번 물질은 바로 이 효소를 억제해서 암세포를 죽게 한다는 것이다.
이 교수팀은 미국 부동산 재벌 엘리 브로드가 하버드와 매사추세츠공대(MIT)의 공동연구를 위해 설립한 연구소 ‘브로드 인스티튜트 오브 하버드 앤드 MIT’의 첨단과학 장비를 이용해 지구상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천연물을 점검한 결과 인도산 후추에서 PL이라는 물질을 발견했다. 이 교수는 “기존 항암제는 독성이 강해 정상세포까지 죽이는 부작용이 있었으나 PL 항암 성분은 암세포만을 골라서 죽이고 다른 세포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천연물 자체를 암 환자에게 바로 사용하기가 어려워 유사한 인공물질을 만들어 동물실험을 했는데 천연물과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며 “앞으로 말기 암환자나 희귀 암환자를 상대로 임상시험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울 출신인 이 교수는 버클리 캘리포니아대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에서 분자유전학 박사학위와 박사후(포스트닥) 과정을 밟고 하버드대 의대에서 암 유전학 박사후 과정을 마쳤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