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적으로 가장 크고 권위 있는 물 관련 행사를 한국이 유치함으로써 물과 녹색성장의 선도국가라는 이미지를 세계에 알릴 수 있게 됐습니다.”
박은경 한국물포럼 총재(사진)는 최근 동아일보 기자와 만나 2015년 ‘7차 세계 물포럼’의 개최지로 한국의 대구·경북이 선정된 의미를 이렇게 소개했다. 세계물위원회는 15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이사회를 열어 대구·경북을 7차 세계 물포럼 개최지로 선정했다. 세계 물포럼은 각국의 정상 및 국회의원, 물 관련 전문가와 비정부기구(NGO) 관계자 등이 모여 갈수록 심각해지는 지구촌 물 부족 현상을 해소할 방안을 찾는 지구촌 최대의 물 관련 국제행사로, 1997년 시작돼 3년마다 열린다. 한국 정부는 2009년 7차 세계 물포럼 개최지 유치 경쟁에 뛰어들었고, 한국물포럼이 실무를 전담해 왔다.
박 총재는 “7차 세계 물포럼에서는 국제적으로 현안이 되고 있는 물 부족 문제를 105개 과제로 나누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집중 논의했다”며 “(이번 선정으로) 내년 3월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열릴 ‘6차 세계 물포럼’ 이후 모든 관련 행사가 한국을 중심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소개했다. 내년 이후 2015년까지 크고 작은 물 관련 학술행사가 한국에서 열리면서 적지 않은 개최지 홍보 효과도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특히 2015년에 일주일 남짓 진행될 7차 세계 물포럼을 통해 2000억 원의 경제적인 편익과 1900개의 일자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총재는 한국의 유치 성공 비결에 대해 “우리 정부의 치밀한 준비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우선 박 총재를 세계에서 유일한 수자원대사로 임명해 운신의 폭을 넓혀 줬다. 여기에 세계 물포럼 개최지 선정권을 갖고 있는 세계물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열의도 영향을 미쳤다. “5개 분과로 이뤄진 세계물위원회 이사회에 국토해양부, 한국물포럼, 한국수자원공사, 한국수자원학회 등 4개 기관이 참여하면서 유리한 여론을 조성할 수 있었다”고 했다. 개최 도시인 대구·경북이 실사단에 좋은 인상을 심어준 것도 주효했다. 박 총재는 “차질 없는 후속 준비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범정부 차원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