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춘섭 KAIST 물리학과 교수(사진)팀은 스마트폰 화면으로 쓸 수 있는 ‘고강도 플라스틱 화면’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유리만큼 투명하지만 가볍고 튼튼해 차세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등에 두루 쓰일 것으로 보인다. 윤 교수팀은 유리와 플라스틱을 섞어 기존 플라스틱 화면의 단점을 보완했다. 가느다란 유리섬유를 무색투명한 플라스틱의 일종인 ‘폴리아미드’ 필름에 녹여 넣은 다음 표면을 정밀하게 가공했다. 그 결과 유리와 비교할 때 강도는 세 배 정도 세지만 무게는 절반 정도로 가벼워졌다. 열에도 강해 섭씨 450도에서도 녹지 않았다. 이 소재는 필름 형태이기 때문에 휴대전화에 적용하면 휴대전화 두께를 1mm 정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윤 교수는 총 3건의 특허출원을 마쳤으며 국내 기업에 기술을 이전할 계획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