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문제 매듭지어야… 양심적 한일 지식인들이 해결책 찾자”

  • 동아일보
  • 입력 2015년 12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허문명 기자의 사람이야기]‘제국의 위안부’로 기소된 박유하 세종대 교수

그의 서재에서 만난 ‘제국의 위안부’ 저자 세종대 박유하 교수. 박 교수는 자신의 의도와는 정반대로 읽히는 책에 대해 답답함을 호소했다. 검찰의 기소 처분이 나온 뒤에는 너무 충격을 받아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할 정도라고 한다.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그의 서재에서 만난 ‘제국의 위안부’ 저자 세종대 박유하 교수. 박 교수는 자신의 의도와는 정반대로 읽히는 책에 대해 답답함을 호소했다. 검찰의 기소 처분이 나온 뒤에는 너무 충격을 받아 잠을 제대로 자지 못할 정도라고 한다. 변영욱 기자 cut@donga.com
《세종대 일어일문학과 박유하 교수(58)가 펴낸 책 ‘제국의 위안부’는 이렇게 시작한다. ‘위안부의 존재를 일찍이 세상에 알린 사람은 한국인이 아니라 일본인이었다. 센다 가코라는 저널리스트로 1973년 ‘목소리 없는 8만 명의 고발, 종군위안부’라는 책을 냈다.…센다는 1964년 마이니치신문사가 사진집 ‘일본의 전력(轉歷)’을 발행했을 때 만주사변부터 패전까지 2만5000장의 사진을 선별하는 일을 맡았는데, 군대와 함께 행군하던 조선인 여성뿐 아니라 일본 중국 여성들의 모습이 실린 ‘이상한’ 사진들을 보았다고 한다. 그 어느 설명에도 ‘위안부’라는 설명은 없었다. 그러나 센다는 이 여성들의 실체를 쫓았고 처음으로 ‘위안부’라는 존재를 알게 된다.’ 》

위안부를 세상에 알린 일본인


허문명 기자
허문명 기자
이어 박 교수는 센다가 ‘위안부’를 ‘군인’과 마찬가지로 전쟁 수행을 위해 자신의 몸을 희생해 가며 도운 ‘애국’한 존재로 이해하고 있었으며 군인들에 대한 보상은 있는데 왜 위안부에게는 없느냐는 주장을 펼친다고 덧붙인다. 그러면서 이런 결론을 맺는다.

‘일본군이 장기간 전쟁이라는 ‘비일상적’ 상황에 놓이게 된 병사들을 ‘위안’한다는 명목으로 ‘위안부’라는 존재를 발상(생각)하고 모집한 것은 사실이다.…일본은 이 문제에서 책임을 져야 하는 첫 번째 주체이다. 더구나 규제를 했다고는 하지만 불법적인 모집이 횡행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모집 자체를 중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일본군의 책임은 크다. 묵인은 곧 가담하는 일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언뜻 봐서도 일본 정부에 대한 책임을 묻고 있는 이 책의 저자 박 교수는 최근 검찰에 의해 위안부 피해자들을 폄훼하고 상처를 주었다는 명예훼손 혐의로 불구속 기소돼 논란의 한가운데에 서 있다.

검찰은 저자가 일본군에 의한 위안부 강제동원 또는 강제연행 사실을 부정하면서 ‘일본군 위안부는 기본적으로 매춘의 틀 안에 있는 여성’ ‘자발적 매춘부’라거나 ‘일본 제국의 일원으로서 일본국에 대한 애국심 또는 자긍심을 갖고 일본군과 동지적 관계에 있었다’고 표현한 대목들을 문제 삼았다.

하지만 박 교수는 책에서 ‘위안부에 대한 ‘강제성’을 묻는다면 눈에 보이지 않는 식민지주의와 국가와 가부장제의 강제성을 먼저 물어야 한다. 동시에 이런 구조의 실천과 유지에 가담한 이들(조선인과 일본인 업자들)의 강제성도 함께 추궁되어야 한다’고 적고 있다. 위안부를 만들어낸 책임이 일본 정부를 넘어 당시 빈곤한 조선인 여성들을 ‘돈벌게 해 주겠다’고 꾀어 팔아넘긴 조선인과 일본인 인신매매 업자의 책임을 함께 묻는 것까지 향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검찰은 이런 대목들을 필자가 일본군의 강제연행 사실을 부정하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었다. 박 교수는 또 ‘자발적 매춘부’란 표현도 일본의 우익들이 하는 말을 비판한 대목에서 쓴 것이라고 했다.

박 교수를 만난 것은 그가 자신의 입장을 표명한 기자회견을 한 이틀 뒤인 4일 서울 자택에서였다. 그는 몹시 피곤해 보였다. 차분하고 부드러운 용모나 목소리에서는 기자회견까지 열면서 검찰이라는 법 집행기관과 맞서고 있는 강한 사람이라는 게 느껴지지 않았다. 박 교수는 “무엇보다 검찰의 조사 과정에서 받은 상처와 충격이 너무 컸다”고 한다.

“작년 11월부터 올해 2월까지 검찰 조사를 다섯 번 받았습니다. 수사관들이 조사했는데 인터넷에서 저를 비방하는 듣지도 보지도 못한 자료를 들이대면서 자신들이 만든 ‘범죄 리스트’라며 묻는 질문 53개에 예스와 노로 대답하라고 하더군요. 정말 답답한 상황의 연속이었습니다.”
“학문을 법으로 단죄하려는 검찰”

―구체적으로 어떤 질문들이었죠.

“‘매춘’이란 표현을 썼느냐 안 썼느냐, 위안부 할머니들과 일본 군인들을 두고 ‘동지적 관계’라는 표현을 썼느냐 안 썼느냐 이런 식이었습니다. 책에 그런 표현을 쓴 것은 저의 주장이 아니라 문헌과 사료, 증언을 인용한 것이며 전후 논리 전개와 앞뒤 문맥을 읽어 보면 왜 그런 표현이 나왔는지 이해가 갈 텐데도 그런 식으로 추궁하니 정말 난처했습니다.”

검찰은 박 교수에게 그를 고소한 ‘나눔의 집’에서 세 가지 조건을 받아들이면 합의하겠다고 전했다고 한다. 첫째, 할머니들에게 사죄할 것. 둘째, 삭제판까지 아예 절판할 것. 셋째, 제3국에서 나온 것과 일본에서 나온 일본어판까지 (일부 문구) 삭제판을 내라는 것이었다.

“첫째와 둘째는 어떤 식으로든 받아들인다고 해도 세 번째는 제가 이래라 저래라 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었습니다. 조정은 실패로 끝났고 검찰은 저를 ‘공공선에 반하는 전쟁범죄를 용인하는 사람’이라는 원고 쪽 주장을 받아들여 기소하기에 이른 것입니다. 제 개인적 처지나 주장의 옳고 그름의 문제가 아니라 역사와 학문의 영역을 이런 식으로 재단한다면 어느 누가 남과 다른 생각이나 주장을 마음 놓고 이야기할 수 있을까요. 제가 책을 내면서 진정으로 바랐던 것은 되도록 많은 자료와 증언을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을 좀 더 이해하고 한일 간의 협력에 더 방점을 찍기 위한 다양한 논의의 장을 만들자는 것이었는데 말이지요.”

기자는 그와 만나기 전 A4용지 100여 장에 이르는 관련 기사를 일독했다. 그의 책이 나온 것은 2013년 8월이었다. 당시 국내 언론들이 소개한 서평을 훑어보면 일부에서 ‘논지가 잘못됐다’는 지적도 있었지만 약 8 대 2의 비율로 ‘다른 목소리를 낸 용기 있는 관점’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다가서려는 진지한 접근’이라고 호평하는 기사가 더 많았다. 하지만 작년 6월 박 교수가 고소를 당하고 검찰이 기소하기까지에 이르자 그를 두둔하는 목소리는 잦아들었다.

이런 상황에서 중요한 것은 학문 연구에 대한 진정성일 것이다. 그에게 일본과의 인연을 물었던 것은 이 때문이었다.

“고등학교를 졸업할 무렵 부모님이 일 때문에 일본으로 가게 되어 따라갔습니다. 일본에 대해서는 많은 한국 사람이 갖고 있었던 반일감정을 가졌던 평범한 ‘반일 소녀’였지요. 일본에 살다 보니 일본이 더 알고 싶어졌고 대학(게이오대)에 입학해 일본문학을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대학을 마치고 석사·박사과정(와세다대)에 들어가서는 당시 일본 문학의 최고 영웅이었던 나쓰메 소세키의 작품을 전공으로 학위를 받았습니다. 그런데 공부를 하다 보니 일본 제국주의에 비판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진 나쓰메의 일본관이나 조선관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게 무엇이었나요.

“그의 저작물 곳곳에는 조선인에 대한 차별, 제국주의와 일본인에 대한 우월적 시선, 여성비하, 국가주의에 대한 용인이 많이 담겨 있었습니다. 이후 일본근대문학회에서 ‘소세키와 국가주의’라는 논문을 발표하고 학회지에 싣기도 했습니다. 자랑 같아 쑥스럽지만 외국인이 쓴 일본 문학평이 처음 실린 경우였습니다.”

―문학연구자가 어떻게 위안부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된 건가요.

“1993년 귀국 직전 우연한 기회에 위안부 할머니들의 통역 자원봉사를 하게 되었는데 간접적으로만 듣던 할머니들의 증언을 직접 들으면서 눈물을 흘렸던 경험이 있습니다. 귀국해 학교에 자리를 잡았는데 한국인들이 일본을 너무 모르고 있구나 하는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비판도 상대를 제대로 잘 알아야 효과적일 텐데, 무조건적인 민족감정만 앞세우고 합리적인 비판은 설 자리가 없어 보였습니다. 급기야 제자들이 ‘일본어를 공부하고 싶긴 하지만 죄책감을 느낀다’고 말하는 것을 들으면서 문제의식을 더 심각하게 갖게 되었지요.”

빈곤층 여성들과 가부장적 제도에 희생돼 온 여성들에게 주목해왔던 페미니즘 문제를 비롯해 탈민족주의, 탈식민지주의 비평을 함께 연구했던 박 교수에게 위안부 문제야말로 그 모든 모순이 응축된 문제로 다가왔다. 이후 집요한 탐구와 증언 청취를 통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폭넓은 자료 조사를 해낼 수 있었다.

“‘제국의 위안부’라는 제목을 두고도 일부에서는 ‘제국을 대변한 위안부’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반대로 ‘제국이 동원한 위안부’라는 말의 줄임말입니다. 서문에서도 썼지만 제가 책을 냈던 출발점은 ‘왜 위안부 문제가 20여 년이 다 되어가도록 해결의 기미가 보이지 않느냐 하는 것이었습니다. 주변국의 오랜 비판에도 불구하고 일본이 변하지 않고 있다면, 혹은 변하지 않은 것처럼 보인다면 거기에는 비판을 하는 사람들의 형식과 내용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이 아닐까 하는 자성도 필요하다는 생각이었죠.”
“이성적 논의-공론의 장 필요”

그는 목이 마른지 찬물 한 컵을 들이켠 뒤 말을 이었다.

“위안부 문제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복잡하며 그런 복잡함을 보기 위해서는 본격적인 논의와 공론의 장이 필요합니다. 분노와 비난이 채워진 ‘견고한 기억’을 걷어내고 되도록 많은 정보와 지식을 토대로 상대를 설득시킬 수 있는 합리적인 길을 모색하기 위한 이성적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위안부 문제를 몇몇 당사자만의 것이 아니라 우리 모두의 문제로 만드는 시도가 우선돼야 한다는 생각이며 이 생각은 지금도 변함이 없습니다.”

박 교수 기소 이후 많은 한일 학자는 박 교수 주장의 옳고 그름을 떠나 학자의 주장을 법의 이름으로 단죄할 수 없다는 성명을 냈다. 박 교수 주장에 동조하지 않는 국내 학자들조차 “연구자의 지적에 대해 법정에서 형사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단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공개 토론을 하자”고 제안했다.

일본의 학계 문예계 정계가 망라된 54명의 인사도 지난달 26일 기자회견까지 열며 항의 성명을 냈다. 성명서에 이름을 올린 사람들은 와카미야 요시부미(若宮啓文) 전 아사히신문 주필, 사회학자인 우에노 지즈코(上野千鶴子) 도쿄대 명예교수를 비롯해 1993년 고노 담화를 발표한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전 관방장관, 1995년 무라야마 담화를 발표한 무라야마 도미이치(村山富市) 전 총리,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오에 겐자부로(大江健三郞) 선생까지 망라돼 있다.

박 교수의 말이다.

“한일 양국뿐만 아니라 동아시아의 평화로운 시대를 만들려면 하루속히 위안부 문제를 매듭지어야 합니다. 오히려 위안부 문제 해결과정은 한일협력의 새집을 짓는 주춧돌이 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려면 정부 간 대화도 중요하지만 위안부 문제의 실체와 본질, 책임과 보상에 대해 양심적 지식인 학자 정치인들이 여러 견해를 내놓고 허심탄회하게 대화하고 합의를 도출해 내는 게 중요합니다.”

양국 지식인들의 큰 공감을 불러일으킨 학자에 대한 검찰의 기소는 잘못돼도 한참 잘못되었다.

허문명 기자 angelhuh@donga.com
#위안부#한일#박유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