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근 위원장 “대학 교양과목에 ‘독도’ 편성 추진”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0월 26일 03시 00분


고창근 독도수호연대 집행위원장
“日은 ‘다케시마’ 교육에 年 10억엔 우리는 정부예산도 관심도 줄어
서울대-고려대 등 7곳과 수업개설 논의”

 “독도의 의미를 모르는 학생들은 많아지는데 정부마저 관심이 없으니….”

 25일 서울 종로구 청계광장에서 만난 고창근 독도수호국제연대 독도아카데미 집행위원장(62·사진)은 한숨부터 내쉬었다. 1900년 10월 25일, 고종 황제가 대한제국 칙령으로 제정한 ‘독도의 날’이 올해로 116주년을 맞이했지만 독도에 대한 국민과 정부의 관심은 점점 더 멀어져만 가고 있어서다.

 2006년 11월 13일 독도수호국제연대가 시민사회단체로 공식 출범한 이후 독도아카데미를 거쳐 간 고교생·대학생 수료생만 33개 기수 5275명이다. 이들은 이론 교육과 탐방을 통해 독도의 가치를 몸으로 느꼈다.

 이는 독도와 동해를 각각 다케시마(竹島·독도의 일본식 이름), 일본해로 세계에 관철시키려는 일본의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꾸준히 이어져 왔다. 고 위원장은 2012년 4월 국제수로기구(IHO)의 일본해 표기를 저지하기 위한 프랑스, 모나코에서의 반대운동과 전국 대학 도서관에 보관된 도서 중 ‘다케시마’로 잘못 표기된 사례를 학생들과 함께 찾아낸 일들을 자랑스러워했다.

 하지만 해외에서의 반향과 달리 정작 국내에서는 호응이 부족했다. 매년 500여 명의 학생을 교육할 수 있도록 편성됐던 예산도 절반으로 줄어 올해는 300여 명의 수료생밖에 배출하지 못했다. 초중고교는 물론이고 진리의 상아탑인 대학에서조차 독도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에 여전히 인색하다. 매년 10억 엔(약 108억 원)을 투자해 학생들에게 다케시마와 일본해를 가르치고 있는 일본에 비하면 턱없이 열악하다. 고 위원장은 “독도가 어떤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섬인지, 일본의 어떤 침탈 위기를 버텨 냈는지 아는 학생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 말했다.

 고 위원장은 이제는 대학이 중심에 서서 국민의 관심을 높여 줘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지난해 3월부터 코스콤의 지원을 받아 대학에 독도주권 관련 교육을 3학점 필수교양 강의로 도입하자는 운동을 벌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경희대 무역학과 교수 출신인 그는 교육의 가치를 누구보다 열렬히 믿고 있다. 독도수호연대는 현재 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등 7개 대학과 교양수업 개설을 두고 양해각서(MOU)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김동혁 기자 hack@donga.com
#독도#고창근#독도수호연대 집행위원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