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東亞]<16> 1933년 한글맞춤법 통일안 최초 사용

  • 동아일보
  • 입력 2018년 1월 12일 03시 00분


코멘트

총칼 대신 한글로 독립정신 일깨우다
인촌 선생, 맞춤법 제정 기금 지원… 일제 조선어 교육 방해 정면 비판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 통일안 공포 6개월 전 처음 적용하기 시작한 동아일보 1933년 4월 1일자. 동아일보DB
조선어학회의 한글맞춤법 통일안 공포 6개월 전 처음 적용하기 시작한 동아일보 1933년 4월 1일자. 동아일보DB
“창간 13주년 기념 우리 사(社)에서는…새 철자법을 채용하기로 하야 오늘부터 시행하게 되었다. 이것은 오직 우리 동아일보의 큰일일뿐더러 진실로 조선말과 글을 위한 큰 혁명이라고 할 것이다. … 말과 글이 한 민족의 문화의 어미인 것은 새삼스럽게 말할 것도 없다.”(1933년 4월 1일 동아일보 사설)

오늘날 한글맞춤법은 1933년 10월 조선어학회가 제정, 공포한 ‘한글맞춤법 통일안’을 수정한 것이다. 이 통일안을 가장 먼저 사용한 신문이 동아일보다. 동아일보는 공포 6개월 전부터 거의 완성된 이 통일안을 적용해 새 활자로 신문을 발간했다. 당일 부록으로 ‘신철자편람(新綴字便覽)’도 함께 보급했다. 동아일보가 앞서 나가자 다른 신문이나 잡지도 뒤따라 새 맞춤법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우리말과 한글을 바로 세우는 일은 ‘총칼 없는 독립운동’이었다. 동아일보는 “철자법을 통일 확장하는 것은 우리 민족문화운동의 기초 공사”라고 봤다. 인촌 김성수 선생이 맞춤법 통일안 제정에 필요한 기금을 지원하기도 했다. 1929년 조선어사전편찬위원회를 결성할 때도 발기인 108명 가운데 동아일보 전현직 인사 10여 명이 참여했다.

조선어와 한글 교육을 수호하는 데도 적극 나섰다. 한글학자인 외솔 최현배 선생의 글을 연재했고, 조선어 교육을 제한하려는 일제의 정책을 정면으로 비판했다.

“글을 배우러 오는 아이들은 거의 날마다 늘었다.”

심훈이 1935년부터 이듬해까지 동아일보에 연재한 ‘상록수’의 한 구절이다. 동아일보의 한글 사랑은 ‘브나로드’ 운동으로 꽃을 피웠다. 문맹률이 약 80%에 이르던 현실에서 동아일보는 1931년부터 ‘브나로드’ 운동을 벌이며 농촌계몽과 한글 보급에 앞장섰다. 동아일보가 배부한 ‘한글공부’ ‘신철자편람’ 등의 교재만 모두 210만 부에 달했다.

조종엽 기자 jjj@donga.com
#동아일보#인촌#김성수#1933년#한글맞춤법#통일안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